[뉴스] 트럼프 대통령 첫 의회 연설서 북한 언급 안해…한국엔 “대미 관세 불공정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번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북한 문제에 대한 언급 없이 동맹국인 한국에 대해 부당하게 높은 대미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내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동맹과 적성국이라는 전통적인 이분법을 허물고 있다며, 미국과 북한이 협상 국면에 들어가면 한국의 입지가 취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서울의 김환용 기자를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뉴스] 미 상원서 북·중·러·이란 겨냥 법안 발의 … 통신망·군사기지 보호
미국 상원에서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 등 적성국을 겨냥한 법안이 잇따라 발의됐습니다. 미국 통신망과 군사기지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취지입니다. 이조은 기자입니다.
[뉴스] 美육군장관 후보 "북중러, 美영향력·동맹 약화 위해 협력"
[서울=뉴시스] 김난영 기자 = 미국 육군장관 후보자가 북한과 자국 경쟁·적성국 간의 협력에 경계를 표했다.
대니얼 드리스콜 미국 육군장관 후보자는 30일(현지 시간) 상원 군사위 청문회 서면 답변에서 "중국과 러시아, 이란, 북한이 우크라이나 등에서 보인 최근 행동은 미국의 세계적인 영향력과 동맹 약화를 위한 협력적인 접근법을 시사한다"라고 말했다.
[뉴스] 미 하원서 북·중·러·이란 ‘첨단 기술 도용’ 대응 법안 발의
북한을 비롯한 적성국들이 미국의 첨단 기술을 무단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해 대응하도록 하는 법안이 미 하원에서 발의됐습니다. 러시아와 중국이 미사일 기술 등을 빼돌려 북한과 공유할 가능성 때문에 더 주목되는 입법 노력입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학술논문] 미-북 간 국교정상화 추진에 대한 전망과한국의 대응 방향
본 논문의 목적은 국가선호모델을 활용하여 미국-적성국가간의 국교정상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미-북 간의 국교정상화 과정을 전망하고 한국의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미국은 적성국가와의 국교를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먼저, 양국의 생존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였고, 이러한 기반 위에서 다양한 협력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양국관계를 더욱 공고화하였다. 미-북 간의 국교정상화 과정에도 유사한 패턴이 반복될 것이다. ① 미국은 생존의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서 북한에게 핵의 동결·폐기와 미사일의 개발·수출 규제를 요구할 것이고, 북한의 체제 보장을 약속할 것이다. ② 미국은 북한과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정책을 추진할 것이고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요구사항의 이행과 확인을 거쳐 나아가는
[학술논문] 헝가리혁명의 수용과 냉전인식의 동요:제 3세계적 상상력과 ‘평화-혁명’
...헝가리혁명은 냉전체제의 사고인 ‘안보-평화’론의 빗장을 열고 ‘평화-혁명’의 열기를 수용함으로써 탈식민의 상상력을 자기증명하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2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소련발 평화론이 비등한 가운데 세계적인 호응을 얻었으나 남한은 북한과 달리 세계적인 평화연대에 동참하지 않았다. 이와 달리 적성국에서 일어난 헝가리혁명은 냉전체제 남한에서 이례적으로 큰 호응을 얻은 세계사적 사건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반소․반공이라는 안보의 틀에서 확고한 진영론에 놓여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헝가리혁명은 식민지에서 독립한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평화-혁명’론의 흐름 속에서 ‘자유’와 민족주의적 독립의 기치로 국제적인 연대의 감수성을...
[학술논문] 미사일 메커니즘에서 드러나는 국가 간 정치심리 분석: 한미동맹 사례를 중심으로
...미사일 개발을 제한했던 미국은 왜 한·미 미사일 지침 종료에 합의했나? 어떠한 국가심리가 작용한 것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한미동맹의 미사일 협정을 사례로 미사일 메커니즘에서 드러나는 국가 간 정치심리를 분석하는 것이다. 미사일은 국제정치에 있어 국가의 내심을 파악할 수 있는 기제(機制)로 활용되기에 충분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미사일은 적성국에게는 ‘위협의 두려움’을 유발하는 기제이며, 동맹국에게는 ‘연루의 두려움’을 유발하는 기제이다. 결과적으로 한미동맹에 있어 미국의 한국에 의한 전쟁 ‘연루의 두려움’보다 북한 핵미사일의 미국 본토 공격에 대한 ‘위협의 두려움’이 상대적으로 더 커졌기 때문에 미국은 동맹...
[학술논문] 미국 의회의 대북제재 법안 통과 결정요인 분석
...하지만 최근 들어 미국 의회는 스스로 대북 제재 법안을 만들어 통과시키는 등 대북제재의 주체로서 그 중요성을 과시하고 있다. 미국 의회는 그동안 북한의 핵개발 및 미사일 개발에 대해 꾸준히 제재 법안을 만들어 왔다. 하지만 통과된 대북 제재 법은 '2016 대북제재 및 정책 강화법(H.R.757)'. '2017 제재를 통한 미국의 적성국에 대한 대응법(H.R.3364)', '2020 국방수권법 중 2019 오토웜비어 북핵 제재법(S.1790)' 단 3건 뿐이다. 발의된 많은 법안(bill) 중 이 3개의 법(law)이 통과되는 데는 어떤 결정요인이 작용한 것일까? 본 연구는 미국 의회의 대북제재 입법을 법안 특성 요인과 행위자 요인으로 나누어 총 4가지 결정요인을...
[학술논문] 경제안보동맹과 한미사이버안보강화
...원격조정사이트로 피해자를 유인하여 금전이나 정보를 빼내는 수법을 사용한다. 그밖에 국가핵심기술을 다루는 연구소나 기업들을 해킹하여 중요 정보들을 훔쳐간다. 국가핵심기술인 경우 피해액 산정이 어려울 정도로 손해가 크다. 경제안보를 위해서는 사이버안보는 필수적이다. 국가핵심기술이 저장되어 있는 서버를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해킹을 막아내고 내부에서 유출된 정보를 적성국으로 보내지 못하게 하는 것도 사이버안보의 영역이다. 이를 위해서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동시에 경제안보와 사이버안보를 위한 작전을 펼쳐야 한다. 세부적으로는 산업보안방첩활동이나 사이버보안대응을 의미한다. 한국과 미국은 한국전쟁이후 오래동안 군사동맹관계를 유지하면서 한반도평화유지에 이바지했다. 이제는 군사동맹만이 아니라 경제안보동맹으로서 공동의 경제적 이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