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도발사례 분석
북한은 6.25전쟁이후 대남적화혁명 목표달성을 위해 지상•해상•공중의 다양한 수단과 방법으로 대남 침투 및 국지도발을 감행하여 왔으며, 다음과 같은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첫 번째는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았다. 그들은 필요에 따라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시간을 선택하였으며, 지상, 해상, 공중, 국내, 해외를 불문하고 장소를 가리지 않았다. 두 번째는 수단과 방법과 대상을 가리지 않았다. 즉 함정, 항공기, 포, 납치 폭파 등 다양한 수단 방법을 동원하였고, 대상도 국군과 주한미군뿐만 아니라 아 국민과 최고지도자를 가리지 않았다. 세 번째는 형태가 다양해지고 도발강도와 위협 수준이 점증되었다. 최초에는 특수공작원이나 간첩 등 소수 인원의 침투공작으로부터, 수십 명의 침투도발, 아 함정을 향한 공격...
[학술논문] 북한의 대남혁명전략 변화에 대한 연구: 노동당 규약 내용을 중심으로
...적화혁명을 뜻하는 ‘민족해방민주주의혁명’ 용어를 노동당의 당면목적에서 삭제하고 다른 용어로 교체하였다. 또한 노동당 규약의 통일 관련 조항에서 ‘남한 인민들의 투쟁을 지원한다’는 구문을 삭제하고 대신 ‘강력한 국방력. . . (중략) 통일을 앞당기고’ 라는 문구를 새로 추가하였다. 이 이외에도 개정된 규약에는 김정은 통치상황의 변화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 다수 있다. 이와 같은 노동당 규약의 개정은 북한이 대남적화혁명을 포기하거나 대남혁명전략을 수정한 것은 아닌지 의문이 생기게 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 문제를 분석하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노동당 규약의 수정은 단어의 교체일 뿐 대남혁명전략을 포기한 것이 아니라는 의견도 있고, 북한이 대남적화혁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