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 발발과 미국 트루먼 행정부의 정보실패
...증강실태와 전략적 기습 가능성에 대해 경보해왔다. 그러나 상충되고 부정확한 정보를 생산했기 때문에 정책결정자들로부터 신뢰를 얻거나 정책변화를 유도하지 못했다. 그러나, 루머와 역정보가 난무한 상황에서 첩보를 검증할 수 있는 기술정보 수단 없었기 때문에, 북한군의 능력과 기습 시기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었던 불가항력적인측면이 있었다. 물론, 정보기관도 정책결정자들과 긴밀히 협의하면서 이들의 관심과 유도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일정 부분 정보실패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한편, 트루먼을 비롯한 고위 관료들은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를 낮게 보면서 애치슨 국무장관의 미국의 방위선에서 한국 배제 선언, 주한미군 철수, 군사원조 삭감 등의 조치를 단행했다. 이는 소극적이었던 소련의 태도를 적극적인 대북 관여 정책으로 전환시켰다...
[학술논문] 북한인권법과 대북인권정책
...관심사안이자 통일과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우리 정부가 포기할 수 없는 당위적인 정책과제이다. 유엔제재와 국제인권압력이 북한의 핵포기 목표와 인권개선 목표를 달성할지 여부가 불확실한 가운데 북한인권법안이 여야 합의로 통과되었다. 이제 대북제재를 넘어서 북한내부의 변화를 통한 체제전환의 지렛대를 만들어갈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북한인권법은 여야간 정치적 타협의 산물로 여러 가지 쟁점과 후속 보완조치가 필요하다. 향후 대북인권정책은 북한인권법의 제약점을 넘어서 포괄적인 목표와 다양한 수단을 동원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인권정보의 생산과 확산, 매체에 대한 지원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인권기반 전략적 대북 관여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북한인권개선은 궁극적으로 북한체제 변화와 북한주민의 인식전환으로 촉구될 수 있다.
[학술논문] 북한의 핵무장에 대한 한·미 신행정부의 북핵 정책
...달성하였거나 거의 임박했다고 판단된다. 새롭게 출범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은 힘을 통한 평화를 기치로 ‘미국 우선의,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를 추진하고 있으며, 북핵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북핵 정책은 최대의 압박과 관여로 북한을 압박하고 있으며, 더 이상의 전략적 인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는 주변 안보 상황을 현실적으로 인식하여 통일 정책과 대북 정책이 연계된 북핵 정책을 일관성과 주도성, 창의성을 바탕으로 수립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북핵 위협 대응 역량 구축 등 자주국방 역량을 강화해야 하며, 대화와 압박이 조화를 이룬 선택적 관여정책 추진, 통합방위태세 확립 등 실행 가능하고, 지속 가능하며, 달성 가능한 북핵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EU 규범 권력과 대북한 관여정책
...이는 역으로 내부 결속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EU는 규범 권력의 확보를 통해 글로벌 행위자로 인정받고자 한다. EU는 1990년대 중반 KEDO 가입을 통해 처음 한반도 문제에 개입했다. 이후 양 지역 간 정치·인권 대화를 정례화하고 수교 체결을 이루면서 EU는 북한 문제에 있어 건설적 관여정책을 추구해왔다. 2002년 이후 북핵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비판적 관여정책이 전개되던 시기에도 양자적 대화채널은 여전히 유지되었는데, 북한의 입장에서 EU와의 관계 유지는 미국의 강경 일변도 대북정책의 정치적 압박을 약화시키는 의미가 있었다. 한편 EU의 경우 북한 문제에 대한 개입은 비군사적 차원에서 EU의 규범 권력성을 보여주고 또 확산시킬 수 있는 요소들이 많은 영역이다. EU는 북한과의...
[학위논문] 미국 연방 의회와 대통령 관계가 북미 제네바 합의에 미친 영향
...누그러뜨리고, 미국과 합의하여 북미 기본합의문에 동의한다. 이후 1995년 이래 임기 말까지 야당인 공화당이 의회 상하원 다수당의 지위를 확보하는 분점정부 상황 속에서 클린턴 행정부는 임기가 끝날 때까지 제네바 합의 이행이라는 대북 현상 유지 정책을 폈으나, 의회는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 관여 정책을 수정 또는 폐기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의회와 행정부의 대북정책 이행을 둘러싼 갈등으로 클린턴 행정부의 제네바 합의 및 대북 관여 정책은 지연된다. 한편, 2001년 공화당 부시 행정부의 출범 이후 부시 대통령은 전임 대통령의 제네바 합의를 변경하고자 하는 현상 변경 정책을 편다. 당시 미국 의회는 하원이 공화당이 다수인 불안정한 단점 정부 상태였다. 2002년10월 부시 행정부는 북한 비밀 고농축우라늄(HEU) 개발...
#송찬식 #제네바 합의 #북미 기본합의문 #의회 #야당 #대통령 #위기 시 협상 모형 #북한 핵개발 #클린턴 행정부 #부시 행정부 #단점 정부 #분점 정부 #The US-DPRK Agreed Framework #Geneva Agreement #Congress #President #minor party #major party #majority party #negotiation model in the crisis #North Korean nuclear programme. Clinton Administration #Bush Administration #united government #divided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