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평화통일 기반구축을 위한 군비통제 추진방향
...③남북 간 제도·구조적 한계, ④국내·외 환경적 한계 등 태생적 요인이 자리 잡고있기 때문이다. 첫째, 군비통제를 추진하기 위해 남북 고위급회담 수준의 정치적 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협상 및 추진과정에서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황과 여건에 부합한 ‘신축적 상호주의’를 적용해야 한다. 둘째, 기존의 ‘선 신뢰구축, 후 군축’ 원칙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절충적 방법으로 ‘신뢰구축 및 군축의 동시추진’ 원칙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즉, 군비통제의 낮은 수준이라 할 수 있는 군사적 신뢰구축과 합리적 충분성에 입각한 제한된 군축을 병행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무총리실...
[학술논문] 북한 금융제도의 이원화 시도와 전략적 함의: 동유럽 체제전환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북한 금융 시스템의 변화 과정을 사회주의 단일은행제도에서 이원적 은행제도로의 전환이 갖는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동유럽 체제전환국인 폴란드, 체코, 헝가리의 이원적 은행제도 도입 사례와 북한의 사례를 비교하여, 각 제도의 특징과 상이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김정은 정권 이후 북한은 중앙은행과 상업은행의 기능 분리, 유휴자금의 제도권 편입 등 제한적인 제도 개선을 추진해 왔다. 이는 동유럽 국가들의 체제이행을 위한 개혁과는 달리 체제 유지를 전제로 한 ‘전략적 절충(strategic compromise)’의 성격을 띠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북한 금융개혁의 이중적 성격은 통제 유지와 점진적 유연화 사이의 조정 전략으로 해석된다. 현재 진행 중인 개혁은 체제전환을...
[학위논문] 통일한국의 군사통합과 군사력 건설에 관한 연구
...동북아는 현재 중국-러시아-북한의 전통적 동맹체제인 북방 3각의 대륙세력과 미국-일본-한국의 전략적 동맹체제인 남방 3각의 해양세력간의 대결구도 속에서 미중의 패권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지만, 오간스키의 세력전이이론을 적용한 동북아의 위계질서 변화를 고려할 시 중국의 부상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통일한국을 지향하는 군사통합은 전략균형론에 입각하여 동북아의 중재자로서 더 나아가서는 그 균형자 역할을 할 수 있는 군사통합모델을 모색해야 한다.
결국 한반도의 군사통합모델의 적정 유형은 한국 주도적인 합의적 대등통합모델을 추구하되, 북한에게도 기회를 주는 유도형 흡수통합모델 뿐만 아니라 혼합형, 절충형 군사통합모델까지 다양한 버전의 군사통합모델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미래 군사통합은 힘의...
[학술논문] 다윗과 골리앗의 신안보딜레마: 강대국 정치 시대에 급부상한 게릴라 전술의 정치·군사 역학 분석
... 확보되어도 안보 취약성은 줄어들지 않는 역학을 신안보딜레마로 개념화한다. 이러한 딜레마 상황과 연계지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북한의 무인기 침투 사례를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신안보딜레마 역학 진단을 통해 다섯 가지 정책적 함의-조직이기주의 타파, 고가무기와 저가무기의 절충, 융합인프라 구축, 북한의 미래 도발 양상 진단, 신냉전의 동태성 파악의 필요성-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