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도현의 『서울로 가는 전봉준』에 나타난 코드 연구
이 논문의 목적은 안도현 시인의 『서울로 가는 전봉준』에 나타난 코드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시집 『서울로 가는 전봉준』에 실린 작품들이다. 주요 작품들은 <사월>, <초소에서>, <낙동강>, <젊은 북한 시인에게 1>, <부여 기행> 등과 시인의 데뷔작인 <서울로 가는 전봉준>이다. 연구 과정에서 이들 작품에 투여된 코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일정한 대상에 부여하는 무의식적인 의미인 ‘코드’는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이며, 경험과 감정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각인은 사고의 과정을 규정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연구의 결과 『서울로 가는 전봉준』의 코드는 ‘분열’과 ‘대립’, 그리고...
[학술논문] 해방이후 《동학사》의 비판적 수용과 농민전쟁연구
...개괄하였다”고 하였다. 한국학계에서는 1990년대 들어 12개조의 실재 가능성을 더욱 구체화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정창렬은 12개조의 실재성을 『오하기문』의 기록과 대조하여 1894년 7월 6일 전봉준과 김학진 사이의 전주회담의 결과로 보고 폐정개혁사업의 강령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은 오지영 저작의 신빙성을 인정하면서 구체적인 실체 연구를 진행시킨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폐정개혁 12개조에 대해서는 《동학사》의 초고본과 간행본의 내용 차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특히 오지영의 회고담과 전봉준 재판과정에 대한 《동학사》의 기술 비교 등을 보충하였다. 앞으로 폐정개혁 12개조의 실재성 여부에 대해서는 홍계훈에게 올린 27개조 폐정개혁 중 사라진 13개 조항의 복원 등 자료 수집과 다각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