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냉전 초기 중·북 문학 교류의 한 장면 - 바진과 이예의 전장 기록에 나타난 이태준 -
...중요한 전장 기록으로, 주로 교류 일정과 현장 분위기를 담아내고 있다. 이예의 기록은 이태준의 모습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기보다는 당시의 문화 교류 현장을 보조적으로 증언하는 성격이 강하며, 이러한 차이는 두 문인의 기록을 병렬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본 논문은 위의 세 작품 속에서 북조선에서 활동하던 작가 이태준(李泰俊)이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재현되는 양상에 주목한다. 이태준은 환영식, 좌담회, 문화 시찰 등의 장면에 빈번히 등장하며, 외교적 접대자 이상의 존재로 기능한다. 그는 때로는 문화 교류의 상징적 인물로, 때로는 상호 감응을 매개하는 존재로 서사화 되며, 전시기 문학 공동체의 정서적 맥락을 드러내는 중요한 단서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록과 형상화 분석을...
[학술논문] 한국전쟁의 의도적 망각과 전쟁포로의 기억 투쟁 - 하 진 전쟁 쓰레기와 폴 윤 스노우 헌터스를 중심으로
...증명하고 공적 기억을 구축하는 수단으로 한국전쟁을 각기 다르게 전유하여 정치적 자산으로 활용하였다. 자유송환의 과정에서 본국 송환을 결정한 포로들은 부역 행위와 사상성을 의심 받으며 처벌의 대상이 되었고, 중립국행 포로 역시 이중변절자 취급을 받으며 공적 기억에서 삭제되었다. 하 진의 전쟁 쓰레기와 폴 윤의 스노우 헌터스는 실증적인 역사 기록과 인물을 서사의 자원으로 활용하면서도 전쟁포로에 대한 공적 기억을 배반하고 교란하는 새로운 역사 쓰기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회고록과 소설이라는 양식을 줄타기하며 거대 역사를 개별적인 서사로 모자이크하는 작업은 각국에서 가공한 역사가 은폐한 진실을 교차적으로 드러내고 대항 기억을 생산・유통하는 실천으로서, 기억의 국경을 넘나드는 글쓰기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