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일성의 6·25전쟁 전략 분석 : 전략의 전술화
...결국 김일성의 적극적인 개전요구로 연결되었다. 본 논문은 ‘전격전의 신화’에 대한 단순한 군사적 사고가 군사적 모험주의를 부추겼고, 이것이 국제정세와 전쟁의 마찰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전쟁을 개전하게 된 중요한 요인이 되었음을 규명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김일성이 단순히 ‘스탈린의 대리자’라는 전통주의적 관점과는 달리 소련이라는 구조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범위에서의 독자적 전략을 견지했던 것으로 간주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쟁이 스탈린, 마오쩌둥, 김일성의 ‘3자 합작품’이라는 쑤이(D. Tsui)의 견해, 그리고 소련의 대미 세계전략의 일부로서 규정되는 ‘스탈린의 전쟁’이라는 션즈화의 견해를 부정하는...
[학술논문] 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 가능성: 중도적 접근의 비판적 분석
시진핑 정부의 출범과 함께 중국의 대북태도에도 변화가 감지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중국의 근본적인 대북정책 변화의 시작으로 볼 수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물론 그 결과는 그렇지 않다로 귀결되었다. 시진핑이 중국의 지도자로 등장하자마자 북한은 3차 핵실험을 단행하였고 그 이후 중국의 북한에 대한 태도가 강경하게 변화되는 듯했다. 그러나 유엔안보리 대북제재안 및 대북제재의 실질적 이행과정을 검토해본 결과 중국은 대외적인 선언과는 달리 대북제재에 그다지 진지하지도 적극적이지도 않았다. 오히려 제재안에 제재를 완화시키는 조항을 삽입한다던지 실제로 제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도 북한에 면죄부를 부여하는 태도를 지속하였다. 결국 시진핑 정부의 대북태도는 북한이 중국의 국가이익에 위배되는 도발을 하는 경우에는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포로수기에 나타난 집단기억의 이데올로기-북한포로수용소 미국, 영국인 포로수기를 중심으로-
...했다. 안소니 파라 호커리의 수기는 자유주의 이념을 수호하는 ‘성스런 성전’으로 한국전쟁을 전치시키며 영국의 애국주의 전파를 위한 영웅전기의 집단기억을 구성한다. 이 두 수기는 공통적으로 미,소 냉전 체제의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오리엔탈 코뮤니즘에 대한 적대감을 전면화하지만 한국의 신생국가로서의 민족적 개별성은 은폐하고 있다. 수기는 전통주의에 기반 한 전쟁기원론에 대한 부가 텍스트의 역할을 수행하며 자국의 공적기억으로서의 전쟁서사만을 구축하고 있다. 유엔군 포로수기는 결과적으로 전쟁 기억을 통해 국가 정체성을 영속하고자 했던 미, 영 자국의 미디어 정치의 일부로서 생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전쟁의 비극이 한반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세계사적 문제임을 주지시키고자 한 반공국가 기획...
[학술논문] 중국적 일인지배의 유형과 변화: 정치사상사적 접근
...일인지배가 지속되고 있는 현상을 정치사상적인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의 역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일인지배를 유형화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중국의 일인지배를 정치엘리트적인 관점에서 분석해 온 기존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3장에서는 역사적으로 중국의 일인지배에 담긴 사상적인 배경을 살펴보고, 4장에서는 중국의 일인지배를 전통주의, 전체주의, 권위주의, 조합주의, 현능주의 등 크게 다섯 가지 형태의 이념형으로 유형화하여 살펴본다. 5장 결론에서는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중국의 일인지배가 변화하게 될 방향을 전망한다.
At the 20th Congres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eld in 2022, X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