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시대의 화전양면전술 연구와 대응전략
...김정은 정권에 가장 큰 영향력을 줄 수 있는 나라는 중국이다.중국은 자국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한반도의 안정을 중요한요소로 여기며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반대의견을 표명하고 있다.이러한 시진핑 시대가 중요한 기회임을 인식하고 대 중국 외교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또한 일본과 더불어 중국을 강력하게 견제하고 있는 미국과의 관계도 한미동맹을 돈독하게 유지하면서 중국과 공조를 유지하는 등거리 외교노선을 유지하는전략적 유연성(strategicflexibility)을 확보해야 한다.그리고 현 정권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해 김정은 정권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도록 유인책을 강구해야 한다. 주제어 :3대 세습,화전양면전술,대결전략,체제생존,공포정치,절대권력, 和전략,戰전략
[학술논문] 김정은시대 북한정치의 제도화 과정에 관한 연구
...통해 당규약과 헌법을 개정하여 당 제1비서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오르면서 추구한 것은 자신의 유일영도였다. 공식적인 김정은 체제를 출범만으로 이것이 완성될 수 없었고 계속적인 정치과정이 진행되었다. 전체 인민들의 절대적인 가치와 규범이라 할 수 있는 유일사상체계확립 10대 강령을 39년 만에 개정하여 자신의 위상을 공고화하려 하였다. 또한 김정은이 절대 권력을 행사하며 유일영도체계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은 장성택의 제거였다. 그를 ‘국가전복음모죄’로 사형에 처하면서, 김정은 외에 그 누구도 정치권력의 중심이 될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김정은 집권 5년차인 2016년 36년 만에 제7차 당대회를 개최하였다. 당규약을 개정하여 새로운 직책이 만들어지면서 김정은이 당위원장에 추대되었다...
[학술논문] 북한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의 시각정치적 언어 연구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1967)의 시각정치적 언어에 주목하여, 북한 유일체제의 시각화에 대한 기원과 특징을 밝히며, 그 작동방식을 해석한다.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은 1967년 6월 4일, 보천보전투 승리 30돌을 기념한 북한에서의 첫 혁명 전통기념탑이다. 1967년은 북한에서 전 사회적으로 유일사상체계의 확립을 선언한 시기이며, 김일성 절대 권력의 제도화와 개인숭배가 전면화된 시기이다. 이때 세워진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은 유일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상징적인 시각정치적 언어이다. 구체적으로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의 시각정치적 언어는 붉은 기발, 정면중심의 원칙, 투시적비례관계, 호수에 비치는 지도자, 시간성과 공간성, 서사적 구성 등을 통해 김일성을 중심으로 하는 유일체제의...
[학위논문] 金正恩 時代의 權力構造와 黨軍政 關係에 關한 硏究: : 首領制를 中心으로
...통해 당에 대한 유일사상체계를 확립한데 이어 군부강경파 숙청을 통해 정치위원제를 도입함으로써 군에 대한 당의 통제를 확고히 하였다 김일성은 1972년 사회주의 헌법을 제정하여 수령제를 제도화하고, 수령과 당의 군 2027; 정(군대와 국가기관)에 대한 정치 2027; 정책적 지도와 행정 2027; 지휘적 지도를 통해 권력을 공고히 함으로써 수령으로서 절대 권력을 행사하였다
후계자 김정일은‘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을 위한 10대원칙’을 통해 김일성의 권력과 권위를 신격화절대화하면서 당군에 대한 정치적 기반을 확대해 나갔다 김정일은 1990년 전후 소련과 동유럽 공산국가의 붕괴, 김일성 사망, 잇따른 자연재해 등 대내외적 위기에 봉착하자 군을 앞세운 선군정치로 위기를 극복하였다...
[학술논문] 북한 수령형상 음악의 종교성과 선교적 시사점: 기독교적 특성을 중심으로
북한 정권은 김일성 3대 세습 체제를 공고히 하는 과정에서 음악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북한의 절대적 권력자인 수령의 형상을 창조하고,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수령형상 음악이며, 주체사상이라는 종교성이 담겨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령형상 음악의 가사와 악곡을 한국의 복음성가와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 기독교적 특성이 인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령형상 음악과 복음성가와의 공통성을 적절히 활용하면 향후 한반도 통일의 과정과 통일 이후 남북한 주민들이 직면할 사상적 괴리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인식 아래 복음적 평화 통일 기반 조성을 위해 음악을 활용한 선교적 시사점을 두 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음악치료를 통한 선교적 접근과 복음성가를 통한 영적 접근이다. 핵심은 북한 주민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