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항공승무원의 보안인식과 항공보안요원의 위기대응능력 조사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보안 실패 사례는 창랑호 납치사건(1958), KAL YS-11 납치사건 (1969), KAL F-27 납치미수사건 (1971), KAL B727 납치미수사건(1985), KAL KE858기 공중폭파 사건(1987), KAL B747 납치미수 사건(1988), KAL 388 납치미수 사건(1993)등이 있다. 이에우리정부는 1969년 항공기 납북사건 이후 사복경찰관과 함께 항공보안요원에게 무기 휴대를 허용하게 하였으며, 1970년부터는 항공보안요원을 청원경찰로 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하였다. 이후 2008년부터 항공기내에 보안요원이 탑승하는 제도를 도입하였지만 이것은 객실승무원중보안승무원을 지정하는 개념으로 현재 항공기내에서 얼마나 실효적인 역할과 효과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따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