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이 한국 정착 과정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이 한국 정착 과정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에 1년 이상 거주 중인 북한이탈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심층면접 자료는 Giorgi의 4단계에 따라 분석되었다. 심층면접의 분석 결과에 따라, 4개의 구성요소와 24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경험은 크게 ‘탈북의 배경과 탈북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 ‘한국사회 진입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 ‘한국사회 적응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 ‘한국사회 정착 과정에서의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이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식의 변화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이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지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남한에 1년 이상 거주 중인 북한이탈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중에서도 Giorgi가 제시한 4가지의 단계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진술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총 4개의 구성요소와 12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북한이탈청소년이 남한사회에서 경험하는 인식의 변화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 변화’, ‘미래에 대한 인식 변화’, ‘남한사회에 대한
[학술논문] 월경(越境)과 전향(轉向) 사이 - 박현숙 희곡 <사랑을 찾아서>(1960) 연구
...북을 세 번 월경한 주인공 정애리와 사상을 회의하는 인민군 오영식을 중심으로 체제 ‘월경’에 대한 공포와 ‘전향’의 억압을 극화한다. 정애리의 월경 동인인 ‘순수한 사랑’은 자기 보존의 욕망, ‘생존’을 위한 욕망과 이어진다. 국가체제의 폭력, 내적 자유의 억압, 체제의 전향 강요에 대한 비판적 의식은 월경인 정애리와 경계인 오영식에게 가해지는 체제의 폭력을 다룬 4장부터 심화된다. 1장과 5장에 배치된 법정 장면에서, ‘월경인’ 정애리는 체제에 의해 잠재적 ‘죄인’으로 다루어지며 민규, 민 변호사와 같은 ‘국민’과 차별된다. 정애리는 법정에서 사상의 ‘자유’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