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민지농촌 구술의 서사구조와 문화콘텐츠적 의의 - 전북 정읍 신태인읍 화호리 지역을 중심으로 -
...사회주의 사상의 산 증인이자, 남과 북에 치우치지 않은 사상가였던 김철수 가계의 삶과 귀향은, 화호리가 수동적으로 식민지배에 순응한 곳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사건이자 우리 근 현대의 형태를대변하는 전형이다. 화호리의 삶이 가진 대립과 갈등, 그리고 해결의 지평은, 전통과 근대, 미신과과학, 근대교육과 서당, 신작로와 지평선, 남한과 북한, 민족주의와 제국주의 등 다양한 형태의 대립적 화소로 응축되어 있었다. 화호리 이야기의 이러한 이항대립적구도는 비단 화호리만의 이야기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민족의 근현대사를 보여주는역동적 에너지를 담아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본고에서 객관적 자료로정리된 화호리 주민구술본에 주목하여 스토리텔링의 자료로서 분석하여 문화콘텐츠적 의의를 고찰한 이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