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정치·사회적 이슈 대화 및 토론 경험 분석: 청소년 시민성 교육에의 시사점
...토론의 소재로 삼았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주로 대중매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가족 및 친구와 이슈에 대한 대화나 토론을 하고 있었다. 셋째, 이슈 대화 및 토론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은 조사 대상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으며, 참여하는 경우에도 자기 의견을 표명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초등학생들이 이슈에 대한 발언하기나 침묵하기를 선택하는 데는 이슈에 대한 감정 및 지식, 이슈 대화 및 토론 결과에 대한 기대 여부, 타인과의 교감 등에 대한 판단이 작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에 대한 정치․사회적 이슈 대화 및 토론 경험 제공의 필요성, 학교 교육 및 교사의 역할 제고, 이슈 대화 및 토론 과정에서 침묵하기 현상에 대한 면밀한 탐구의 필요성을 청소년 시민성 교육 및 연구의...
[학위논문] 한국통일에 있어서 정당의 역할 및 제도 연구 : 동서독 간의 선거조약과 관련하여
...경험이남북한의 정치통합에 중요한 사례로써 많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동서독 정당은 1990년 3월 최초 자유 인민회의선거와 1990년 12월최초의 전독 연방의회 선거에서 통일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여 이를 대표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둘째, 통일의 기반마련과 통일과정에서 필요한 정책들을 제시하고, 통일과 관련한 지식과 협상경험을 갖춘 유능한 정치인을 양성하는 것 또한 통일과정에서 정당에게 기대되는 기능임을 확인했다. 셋째, 서독정당의 동독정당에 대한 지원활동은 통일실현과정에서 동독지역 주민의 정치소외를 막고 참여를 유도해 통일을 촉진시키고 사회를 통 - x - 합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넷째, 정당은 통일과 관련한 교육기능을 수행하였으며, 통일에 관한 이슈를 만들고 통일에 관한 선호를 사회적으로 형성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