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터키의 케말 파샤와 이승만 비교연구 - 정치, 외교, 경제, 교육 분야 치적을 중심으로 -
...abroad. But It was he that had a lot of illustrious achievements for Korea in the field of political diplomacy, economy and education. Especially, the deterrence of North Korea' invasion to South Korea and Korean․U.S. Mutual Security Treaty were his great accomplishments. In my opinion, his achievements have to be widely recognized. The reevaluation of Syngman Rhee should be made in near future.
[학술논문] 평화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국가 간 실증적 분석 : 국내정치, 군사․외교, 사회․경제 수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세계평화포럼(World Peace Forum)의 세계평화지수 2013년 자료를 사용하여 국내정치, 군사․외교, 사회․경제를 평화의 측정변수로 사용하였으며, Nationranking의 ‘삶의 질 지수(Quality of life index, QLI)’ 자료를 사용하여 삶의 질 지수를 측정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국내정치가 0.523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경제는 0.299, 군사․외교는 0.160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북한은 47개국과 비교하여 국내정치, 군사․외교, 사회․경제 수준 등의 평화지수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국은 군사․외교 수준이 47개국 중 40위를 차지하여 한국과 북한 모두 군사․외교 분야가 상당히 취약하였다.
[학위논문] 북한의 외교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 「월간국제정세개관」과 북한 외교엘리트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중국과 러시아 등 냉전시대에 사회주의 연대의식을 형성하였던 국가들과의 교류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김일성의 ‘쁠럭 불가담’을 형성하였던 이란・파키스탄 등의 중동국가들과 ‘대중동 외교’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금까지 북한외교 연구 분야에서 부차적인 변수였던 북한의 ‘대중동 외교 분야’가 김정은 외교의 핵심 코드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는 함의를 담고 있으며, 앞으로 북한의 중동정책을 중요한 상수로 봐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학위논문을 작성하면서 이미 발표된 저자의 학술 논문들이 활용되었다. 제4장 제1절과 제2절의 내용은 2023년 발간된 평화문제연구소의 『통일문제연구』 35권 1호에 게재된 본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