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자 면접조사를 통해 본 최근 북한사회의 변화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회통제와 직장의 생산규율에서도 김정은 정권 출범 직후 강화되었던 분위기는 이완되는 추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생활총화 활동이 강화되면서 지리적 이동과 한류접촉 경험이 주춤해졌고 정부에 대한 비판 낙서나 삐라 등의 정치적 비판행위는 현저히 감소되었다. 개인주의 가치가 확산됨에 따라 집단주의 의식이 약화되고 사회주의 전망에 대한 회의, 자본주의 경제에 대한 선호가 지배적인 추세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주체사상 자부심이 높아졌고 김정은 지지도는 상승하였는데, 이러한 정치사상 의식의 강화는 한편으로는 북한당국의 조직적 통제와 단속의 결과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김정은 시대에 대대적으로 진행되는 건설사업과 문화적 변화에 대한 주민들의 지지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학술논문] 남․북한 유아교육과정 비교
...유아교육과정 정립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남·북한 유아교육과정에서의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교육의 고유한 기능과 목적을 반영한 새로운 교육이념 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남·북한 유아교육과정 영역 및 일과운영 비교에서 가장 차이를 보인 영역은 정치사상교육으로, 통일 후 정치사상교육을 통해 공고히 형성된 북한의 정치사상의식을 극복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통일대비 남·북한 유아교육과정의 통합을 위해서는 유아교육과정에 명시된 유아교육관련 용어정리 및 표준화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통일대비 남·북한 유아교육과정 비교에서 유사점을 보이는 영역부터 점진적인 통합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며, 남·북한 간 상호교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