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0년대 후반 북한의 군사모험주의와 당․군 관계 변화
...청와대 기습과 푸에블로호 나포, 울진· 삼척 무장공비침투는 시기별로 변화된 군사모험주의 전략이 반영된 결과였다. 1968년 중반에 들어 군사모험주의 전략은 크게 수정되었다. 그동안 군사모험주의 전략 추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던 군부강경파는변화된 임무를 수행하는 데 완전히 실패하였다. 김일성은 군부강경파를‘군벌관료주의자’로 매도하며 역사의 무대에서 지워버렸다. 군부강경파숙청을 계기로 당·군 관계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군에 대한 당적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정치위원제가 실시되었다. 정치위원제는 군부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제도적 장치였다. 정치위원제 도입으로 북한군의 ‘군사유일제’는 약화되었고, 김정일 후계 구도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학위논문] 金正恩 時代의 權力構造와 黨軍政 關係에 關한 硏究: : 首領制를 中心으로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과 장래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김일성은 한국전쟁과 종파사건을 계기로 당군정에 대한 숙청을 통해 반대 세력(종파)을 제거하고 개인숭배를 강화하면서 수령체제를 구축하였다 군의 정치 참여를 통해 당 2027; 군을 일체화하였고, 1967년 갑산파 숙청을 통해 당에 대한 유일사상체계를 확립한데 이어 군부강경파 숙청을 통해 정치위원제를 도입함으로써 군에 대한 당의 통제를 확고히 하였다 김일성은 1972년 사회주의 헌법을 제정하여 수령제를 제도화하고, 수령과 당의 군 2027; 정(군대와 국가기관)에 대한 정치 2027; 정책적 지도와 행정 2027; 지휘적 지도를 통해 권력을 공고히 함으로써 수령으로서 절대 권력을 행사하였다
후계자 김정일은‘당의 유일사상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