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후 북한교원 통합을 통한 남북한 마음통합 - 북한교원 재임용을 중심으로 -
본 논문은 남북한의 체제 및 제도적 통일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진 후에 통일국가를 실현해가는 과정을 전제로 본격적인 남북한 교육통합을 실행하는 상황에서북한지역의 교육 개혁과 통합을 위한 북한 교원의 재임용과 재교육을 중심으로 한교원정책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장기간의 분단으로 왜곡된 남북한의 상호인식과 서로 반목하는 현실적 제한을 극복하고 통일이후 신속하고 원만한 교육 및 교원통합과 북한교육의 안정화를 이루기 위한 방안으로 북한의 기존의 교원을 정치사상적인 이유로 배제하기 보다는 반인도적 범죄자를 제외한 모든 교원에게 재교육의 기회를 주고 교육과정 수료 후 시험 등 엄격한 심사과정을 통해 선별하여 가능한 최대한의 북한교원을 재임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제안한다. 임용이후에도 직무연수의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교과...
[학술논문] 북한의 국제적 사회화 전망: 국제기구 참여와 외교정책 선호의 변화, 1991-2005
북한의 국제적 사회화는 가능한가? 북한의 외교정책이 변화될 수 있다면 그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제도적 사회화에 관한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을 북한의 국제관계에 적용하여 국제기구를 통한 상호작용이 북한과 타 회원국들 간 외교정책 선호의 유사성을 증가시킨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1991년부터 2005년까지 유엔총회 투표 결과를 외교정책 선호 유사도의 측정자로 사용하여 지구적 및 동아시아 지역적 차원에서 각각 수행된 경험적 검증의 결과는 가설을 지지하며, 제도적 사회화 이론이 북한에 적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국제기구가 제공하는 상호작용의 메카니즘(mechanism)이 학습과 설득 그리고 규범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면서북한의 국제적 사회화 및 외교정책의 변화를 설명한다. 본 연구의 발견은 북한과의 군사적 갈등을...
[학위논문] 북한 社會不平等構造의 성격과 심화과정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구소련, 중국, 동구권에서도 과거 대규모 소용소를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북한의 경우 아직까지 10여 곳에 약 20만 명이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일곱 번째는 정보독점에서 비롯된 사회불평등이다. 사회주의사회는 폐쇄체제를 지향하기 때문에 주민들은 국영언론이나 각종 관제조직의 유도대로 정치사회화되고 동원될 뿐이다. 민간의 영역이 전무한 북한사회에서 언론이란 그저 국가의 일방적인 홍보매체일 뿐이다.
북한은 사회불평등구조를 창출하는 매우 엄격한 사회적 기준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성분별 위계구조와 기능별 위계구조이다. 북한의 사회정책은 국가의 일방적인 행정적 배분에 의해 결정되며 사회 계층화현상은 정책의 효율적 집행을 위한 전략적 선택의...
[학위논문] 북한 개발협력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 사회화 통합 이론을 중심으로
... 관점에 주목하고 2장에서 ‘사회화 통합이론’을 개발하여 연구의 분석 틀로 구성한다. 분석 범위는 북한이 긴급구호를 공식적으로 요청한 1995년부터 2017년까지이다. 연구의 장, 절은 국제법을 중심으로 한 인도주의 규범을 적용하고 바람직한 제도를 구축하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론의 3장에서는 국제사회 개발협력의 제도적 환경을 검토한다. 4장에서는 북한 개발협력의 필요성을 진단하고 국제사회의 사회화 방식을 다원주의 중심의 규범 이탈형과 연대주의 중심의 규범 준수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5장에서는 이러한 사회화 시도 과정에서 북한 당국이 사회권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의 개발협력 규범에 관해 어떠한 법제 변화를 보이는지 분석한다. 6장에서는 한국 정부의 북한 개발협력에...
[학술논문] 동의 과정에서의 북한이탈주민 대상자 취약성 보호방안
이 연구는 동의 과정에 주목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취약성을 분석하고;관련 현안을 발굴한 뒤 그에 따른 구체적 보호조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북한이탈주민 심층면담;전문가 자문 등을 통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북한이탈주민은 북한에서의 사회화 및 일상경험;제3국에서의 도피생활;입국 이후의 정착 과정 등을 겪으면서 인지적/의사소통적 취약성;사회적 취약성;문화적 취약성;제도적 취약성;의학적 취약성;경제적 취약성;신변안전의 취약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난다. 동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가장 심각한 취약성은 인지적/의사소통적 취약성이며 그 다음으로는 사회적 취약성이 작용한다. 둘째;동의 과정에서의 북한이탈주민 취약성 보호 현안은 총 3가지가 도출되었다. 가장 시급한 현안은 동의서 이해의 어려움이며;이는 언어적/의사소통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