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1차 세계대전의 영-독 관계와현재의 중-일 관계 비교: 동아시아 영토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영-독 간의 식민지 경쟁,영-독 해군의 군비경쟁, 영국의 안보문제를 현재의 중-일 관계 특히 센카쿠열도 문제를중심으로 하여 비교한다. 중-일 두 나라의 관계도 1차 대전의 영-독 관계와 같이 중국의아시아 중시와 미국의 태평양 국가 정책, 센카쿠 열도를 중심으로 한 중국과 일본의 제해권(制海權)분쟁, 중국과 일본의 안보적 차원의 문제 등으로 그 원인을 탐구해 볼 수 있으나 실제로 비교의 결과 두 나라간의 세력경쟁은 현재와 유사하고 제해권 경쟁에 대해서도 일정부분 유사한 점이 있지만 국제안보 협력구조에서는 많은 차이점을 보였다. 또한 1차대전 시점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북한의 핵 개발문제가 동아시아에는 존재하며 유럽의 1차대전연구를 동아시아 지역의 영토문제의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 북한 변수를 잘 조절하면서...
[학술논문] 경항공모함의 군사적 및 비군사적 효과 분석
해양분쟁 요인과 해양주권 및 제해권 차원에서 보면 동북아 지역과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의 군사적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현실적인 관점에서 북한의 직접적인 군사위협을 전략적으로 억제하고 군사력이 우세한 주변국들로부터 한국의 해양주권을 수호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한반도 평화유지와 국가번영에 주도적인 역할을수행하기 위한 핵심전력으로 항공모함의 도입은 반드시 필요하다. 현존하는 위협과 미래 불특정 안보위협에 대비한경항모의 운용개념을 제시하면 제해권 확보를 위한 해상에서의 항공작전, 해양차단작전, 해양통제 및 관제, 대잠작전, 대함작전, 상륙작전, 조기경보, 함대지휘통제 등이 포함된다. 경함모의 비군사적 활동에 해당되는 부분은 초국가적 위협(재난, 테러, 해적 등) 대응, 인도적 지원, 국가위상 제고...
[학술논문] 6·25전쟁 시 미 해군의 역할과 주요 작전 분석
...위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미 해군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원해제, 감군정책 그리고 국방예산의 감축 등으로 전투력이 급감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 해군은6·25전쟁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작전을 수행하여 공산군의 공격을 격퇴하고 유엔군의 작전지속능력을 보장함으로써 전승 달성에 기여하였다. 첫째, 한반도 해상의 제해권 장악 및 해안봉쇄작전을 통해 북한해군과 지상작전 부대와의 협조체제와 작전지속능력을 붕괴시켰다. 둘째, ‘블루하츠작전(Operation Bluehearts)’, ‘크로마이트작전(Operation Chromite)’, ‘테일보드작전(Operation Tailboard)’ 등의 상륙작전을 통해...
[학술논문] 일본의 해양전략과 해상자위대 전력운용 변화 분석
이 연구는 일본의 해양전략과 이를 구현하는 일본의 해군력, 즉 해상자위대 전력 운용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냉전기와 탈냉전기, 그리고 미・중 패권경쟁기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냉전기 일본의 해양전략은 해상자위대가 미 해군과 연합하여 일본 주변해역에서의 제해권을 확보하여 일본 본토에 대한 해상으로의 침략을 억제 및 차단하는 것이었다. 이후 구소련의 대외팽창 정책이 가시화되면서 일본은「1,000해리 해상교통로 방위」와 「3해협 봉쇄」를 표명하고, 대잠전 능력 강화 및 해상방공체계 구축을 위해 해상자위대 호위함대 예하의 4개 호위대군을 8함 8기 체제로 편성하여 운용하였다. 탈냉전기 일본의 해양전략은 해상자위대의 임무와 활동범위 확대라는 전략적 방향성을 보였다. 역내에서는 북한과 중국의 위협이 증대되고...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유엔군의 원산 상륙작전과 철수작전을 통해 본 해상수송
...있었다. 바로 원산이었다. 원산은 일제시기 북한지역의 대표적인 도시였다. 일찍이 개항된 원산에 철도와 항만공사가 시작되어 성진, 청진, 흥남, 나남 등 북한 서쪽지역의 교통, 산업, 경제 중심지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글은 첫째 한국전쟁과 해군의 해상작전의 전개를 살펴보았다. 한반도 해역에서 북한군의 해군력이 일찍이 붕괴한 상황이므로 한반도 전역의 제해권은 유엔 해군이 장악했다. 유엔 해군은 상륙작전, 철수작전, 해군항공 폭격, 소해작전, 해상수송작전, 해상봉쇄작전을 반복하며 전개했다. 둘째 한반도 해역의 작전과 함선 이동을 검토했다. 한국전쟁에서 유엔군은 육상수송과 함께 상륙작전을 통한 지원을 적극 선택했다. 셋째 한국전쟁에서 원산의 지정학적 역할과 군사적 대응을 고찰했다. 한국전쟁에서 수송과 전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