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 · 25 전쟁기 인천지구 학도의용군의 조직과 활동
...실시하였다. 1950년 10월 중국군의 참전에 따라 인천지구 학도의용군은 남쪽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에 따라 학도의용군은 거의 3,000명에 달하는 인원이 남으로 장정을 시작하였는데, 이동을 위한 적절한 준비가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의 여정은 고난으로 가득하였다. 통영으로 이동한 이후 많은 인천 학도의용군 소속 학생들은 해병대 훈련소나 육군 제2훈련소를 거쳐 해병과 육군으로 신분을 바꾸어 전쟁에 참가하게 되었다. 인천지구 학도의용군은 클라우제비츠가 언명한 ‘열정’을 보여준 국민의 전형적인 예로 인식될 수 있다. 그들은 국가를 위해 서슴치 않고 자신을 희생하였던 것이다. 아울러 이들 인천의 학도의용군들은 역경 속에서 서로를 돌보면 지역 사회에서 형성된 형제애가 어떻게 전쟁의...
[학술논문] 북한의 철도경비부대 창설과정 연구
...위해 1946년 1월 5일에 제1기‘철도경비대’를 창설했다. 그리고 소련군사령부와 북한의 정치세력은 보안간부훈련소를 창설하기 위해 1946년 6월 1일에 제2기 철도경비대를 조직했다. 제2기 철도경비대는 1946년 9월에 ‘철도보안대’로 개편되었고 두 집단으로 나뉘었다. 1,300여 명은 11월 10일에 보안간부훈련소 제3소에 편입되었고, 713명은 철도보안대에 소속되었다. 이후 철도보안대는 1947년 1~3 월에 ‘평양지구·함흥지구철도보안대대’로 증편되었고, 1948년 1월에 다시 ‘철도보안여단’으로 증편되었다. 북한지도부는 1949년 1월에 철도보안여단을 ‘철도경비 제5여단’으로 개편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