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시장화와 젠더정치
...규명함으로써 시장화로 인한 북한의 젠더질서 변화의 가능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장 공간은 여성에게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으로 변화를 야기하는 공간이기는 하지만, 시장 자체가 갖는 성별화된 특성으로 인해 한계를 갖는다. 시장 구조의 젠더위계, 시장 공간에 투영된 성별화된 자본의 생산과 전유 구조 등 기존 북한 사회의 젠더위계와 이데올로기가 여전히 시장에 투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가 역시 시장화에 대한 대응으로 여성에 대한 통제담론을 강화하고 법과 제도를 정비함에 따라 여성의 변화에 대한 제약이 가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자체가 갖는 구조적 제약과 국가적 통제 하에서 여성은 스스로 시장을 자신의 공간으로 만들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젠더질서의 변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여성들의...
[학술논문] 북한 주민의 모빌리티와 이동·통치·젠더
...비법적 공모, 비공식적 거래 등의 모빌리티 실천은 표면상 규율에 반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북한 체제의 이동권 제한 레짐을 유지해주는 주요 원동력 중 하나다. 다만 통치의 레짐은 주변부만 일부 규제할뿐, ‘비법’의 중심부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둘째, 모빌리티와 관련한 실재, 실천, 현실 세계를 구성하는 정동과 비인간의 영향력은 점차 증대되어 이제 북한 당국의 레짐, 주민의 이성적 예상과실천, 기존의 기술적 관행을 넘어선다. 셋째, 시장화 이후의 젠더 질서 변화는 여성의 모빌리티가 남성 대비 확대되면서 인식, 태도, 정동 격차 역시 증폭된 결과로 설명된다. 그러나 여성이 이동 전략을 통해 불안계급적 지위를 다소 회복했음에도, 내면화된모빌리티의 젠더적 정동은 여전히 잔존하고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