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후기 조령산성의 운영과 수성절목
...습득하고, 합동 연습에 참가토록 규정되었다. 성벽의 수축은 대규모 수축의 경우는 산성창고의 조적(糶糴)을 통한 이자로 받은 곡식과, 군사들이 군역 복무 대신 내는 신역 세로서의 포목, 승군의 동원 등으로 하도록 규정하였다. 그러므로 각종 기록에 조령산성 관련 조적의 관할 기관은 중앙 관청, 지방 감영(監營)과 산성에 소속된 군향속읍 5개 고을에서 마련하는 것으로 구분되어 시기에 따라 그 규모가 쌀과 콩 등의 전통적인 부피단위로 수량이 기록되어 나타난다. 조령산성에는 긴급한 때에 사용할 군량 약 1만석 이상을 보관하는 목표가 세워졌다. 이 군량을 확보하는 주요 수단은 산성 군향을 조적하여 그 이자를 축적하는 방법이었다. 이를 위한 주요 재원을 담당하고 조적(糶糴)과 개색(改色)을 하는 5개 속읍은 각기 성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