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조령출 윤색본「춘향전」의 수용과 윤색의 양상
... 유동성을 가지고 있다. 조령출 윤색본에서 완판84장본의 문체적인 특징이나 내용, 그리고 판소리 작품으로서의 성격을 부분적으로 수용한 것은 그런 요소들의 가치를 인정한다는 뜻이다. 새로운 시가의 삽입, 주인공의 변화된 형상은「춘향전」의 수많은 모습들 중 북한 사회체제 아래서의 또 하나의 변모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조령출 윤색본은 저본의 문체와 내용의 부분적인 특징을 수용하면서도 특정된 주제를 돋보이기 위해 많은 윤색을 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