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관계에서 본 북한 선교정책 전망: 한국교회의 북한선교 방향성 고찰
...이해하는 일들이 북한선교에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남북관계에서 본 북한선교정책전망의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교회의 보수진영(한기총, CCK)과 진보진영(한국교회협의회, NCCK)의 양극으로 나누어 추구하는 선교의 개념을 하나로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북한선교의 방향성을 살펴볼 것이다. 북한 지원을 목표로 하던 북한선교사역 유형 및 조선그리스도교연맹(조그련)을 단일화된 대북창구로 보았던 선교 유형들이 다양한 창구로 변화됨에 따라, 북한선교에 기독교 정체성에 관한 문제가 서서히 제기되고 있으며, 자본의 논리로 관철되는 오늘날 시대에 엄청난 분단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한국과 북한의 국민들은 어려움 가운데 서 있다. 북한선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선교 명령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민족의 생존적 차원에서...
[학술논문] 남북한 정부의 통일정책과 한국교회 통일운동의 관계
... 한국교회는 남북화해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7.4남북공동성명에 충격을 받았으며 이 성명의 3대 통일원칙 중에서 자주의 원칙과 민족대단결의 원칙을 경계하였다. 교회의 통일운동을 자극한 것은 1981년 조국통일기독자회의와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통일대화(‘조국통일에 관한 북과 해외동포, 기독자간의 대화’)였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회원교단들은 조국통일기독자회의와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통일대화에 반대하면서도 이 대화 및 도잔소협의회의 영향으로 1980년대에 조선그리스도교연맹과의 통일대화에 나섰으며, 그 과정에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1988)을 발표하였다. 이 선언에서 비로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회원교단들은 7.4남북공동성명을 수용했다. 남북한 정부의...
[학술논문] 헝가리 체제전환이 남북통일에 주는 시사점
...정부는 1989년 주요 재야단체, 시민단체들과 임시로 ‘원탁회의’를 구성했다. 1990년 4월 첫 번째 총선에서 헝가리민주포럼(MDF)이 제1당이 되었고 당수인 언떨 요제프(Antal Jozesf)를 수상으로 선출했다. 체제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중요한 사안은 과거사 정리이다. 충분한 피해자 보상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나 나름 상징적 차원에서 시도되었다고 평가된다. 북한은 폐쇄사회이지만, 한류열풍과 중국 등지를 통한 교류는 북한주민들의 시야확장과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런 내부의 노력에 의해 체제변화를 이끌어 낼 가능성을 타진해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우리는 북한에 있는 조선그리스도교연맹과 지하교회가 북한체제변화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를 관심을 갖고 고민하며 주시해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남북갈등 해소를 통한 북한선교 방안: 남북왕조의 갈등을 중심으로
...가운데 북한선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종전에 주로 해왔던 구호물자 위주의 선교에서 진일보한 선교적인 방법이 필요하다고 보이는 이때 구약성경에서 볼 수 있는 남북왕조의 갈등구조를 잘 분석한 후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북한선교방법에 대하여 그 원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북한사회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수용이 필요하고 둘째, 조선그리스도교연맹(조그련)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셋째, 방송매체를 통한 대북선교를 제시했다. 북한에 대한 적대적인 방법도 지양하고, 또 일방적이고도 감성적인 접근도 지양한 채 냉정하고도 복음적인 방법으로 접근을 해야 한다. 이 논문은 1장에서는 들어가는 말로 시작을 하고, 2장에서는 남 왕국 유다와 북 왕국 이스라엘의 갈등 이해를 정치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서술하였다...
[학위논문]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통일 대응 연구 : 1980년 이후 교포교회, NCCK, WCC의 통일 운동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 이후 교포교회, 한국기독교교회협의(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CCK), 세계교회협회의(World Council of Churches, WCC)의 통일운동에 관한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이하 조그련)의 대응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조그련의 통일 대응과 관련된 자료 분석 및 조그련의 통일 대응의 목적, 원칙, 방법, 통일사상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그리고 조그련의 통일 대응과 북한 정권의 통일정책과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조그련의 통일 대응과 북한 정권의 통일정책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그련은 북한 정권 주도하에 설립되었고, 북한 정권의 종교정책을 시행하였다. 둘째, 조그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