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공연사적 변모양상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역사는 한 세기를 넘어 다시 반세기가 지나가고 있다. 중국내의 소수민족으로 그리고 한반도의 남한과 북한과는 같은 한민족의 뿌리를 갖고 있지만 이와는 또 다른 문화적 특성을 만들어 가야 하는 중국의 조선민족 무용가들에게 지나온 세기의 무용역사는 새로운 무용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공연사적 변모양상에 대해 논하였다. 중국의 정치·사회·경제적 동향을 중심으로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공연연보를 다섯 시기로 구분하였다. 중국 근대사에서 중요한 사건들은 시기구분의 중요한 기준점이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문화대혁명, 개혁개방 정책은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중국을 대대적으로 변화시켰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학술논문] 최승희를 통해 본 남북 예술의 통합 지향성 고찰
...개발하였다. 최승희는 활동 범위를 한반도에 국한하지 않고, 일본, 중국, 소련, 미국, 유럽 공연을 통해, 세계적인 무용수로 이름을 날렸다. 최승희의 활동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인 상황과 월북이라는 정치적 논쟁 상황에서도 남북의 현대무용 뿌리가 되었다. 월북 이후 최승희는 발레 훈련 체계를 ‘조선 춤’에 접목하여, 조선민족무용기본체계를 완성하였다. 조선민족무용기본은 최승희가 30년 춤 경험을 바탕으로 기본 동작을 분류하고, 주요 작품의 기본 동작을 설명과 그림을 덧붙여 기록한 최초의 무용 훈련서이다. 최승희는 100여 편의 창작 무용 작품을 무대에 올린 예술가이면서, 조선무용기본 등의 무용 이론을 체계화함으로써, 체제를 넘어 남북에서 인정받는 예술가로 남을 수 있었다.
[학술논문] 월북 이후 최승희의 민족 표상과 젠더 수행
...이후 최승희의 민족 표상과 젠더 수행에 대해 네이션과 무용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최승희가 1930-40년대 제국 일본에서 활동했던 양상과 교차하면서, 그녀가 1950-60년대 사회주의 북한에서 표상한 여성성과 조선성의 기표를 통해, 북한에서 조선무용이 네이션의 형성과 연동되었던 맥락을 살펴보았다. 해방 이후 최승희는 ‘조선민족무용’을 창안하면서 민족과 예술을 동시적으로 호명하였으며, 1933년 자기민족지로서 출발했던 조선무용을 비로소 완성하고자 했다. 즉 최승희는 북한에서 네이션의 내재적 계승을 통해 친일이라는 식민주의 유산을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다. 당시 조선무용의 관객은 서양인이나 일본인이 아니라 북한 인민이었기 때문이다. 해방 이전 최승희가 스스로 내세웠던 원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