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외동포 현지 교과로서의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선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사적 고찰을 통해 ‘조선어’ 교육이 어떠한 변화를 겪어왔는지에 대해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지 모국어 교육의 역사적 기술은 북미, 일본, 러시아 지역의 현지 모국어 교육의 역사적 기술로 확장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조선어 교과는 ‘분단 상황에서의 중간자적 언어 교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개혁 개방, 중․한 수교 이전 중국의 조선어 교육은 실제적으로 북한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으나 개혁 개방, 중․한 수교 이후에는 남한어의 영향이 점차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북한어’와 ‘남한어’ 사이의 ‘조선어’에 대한 조선족의...
[학술논문] 분단 상황에서 중간자적 언어 교과로서의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어 문법 영향 관계 분석 연구 -문장 단위 문법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이 논문에서는 조선어문 선택 교과로서의 <문법> 교과서와 남북한 문법교과서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조선어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의 국어문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와 남북한 문법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문장 단위 문법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문장 단위 교육 내용 특징으로 1) 구어 중심, 2) 의미 중심, 3) 양태 중심, 4) 문장 단위 중심을 들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선어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의 국어 문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교육과정 변화에 따라 문법 교과서 기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는지에 대한 사적 고찰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이와...
[학위논문] 북한 고등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As the period of national division lasts, differences in language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found mainly in vocabulary. First and foremost, North Korea focuses on an instrumental function of its language as a powerful weapon to construct socialism. According to such differences in recognition, South Korea created new words based on the vocabulary that comply with tradition and convention
[학술논문] 북한 출판『조선어 배우기』러시아어판과 『조선어(류학생용)』교재 비교 연구
...북한의 외국문도서출판사에서 제작한 『조선어 배우기』 1~3권과 김일성종합대학교에서 출판된 『조선어(류학생용)』1~5권까지의 교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조선어 배우기』와 『조선어(류학생용)』는 북한에서 최근에 출판된 교재이며<조선어소유급수기준>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북한에서 다루고 있는 조선어교육 현황을 파악하기에 적합하다고 보았다. 두 교재 간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보며 개정된 부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의 교재 분석 기준에 따라 교재의 외부 구성 요소와내부 구성 요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외부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그림 자료와 러시아어 설명에서 오류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내부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주제, 어휘 및 문법은 교과서 간에 어느 정도 일관성을 보이지만 일부...
[학술논문] 『조선어문』 7학년 어휘의 계량 연구
...‘나’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고‘우리’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조선어문』이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엄마 : 어머니 : 어머님’의 빈도 비교와 오래된 농업어휘의 사용 등을 통해 조선족이 정착 당시의 언어를 계승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사별 분포로 볼 때 『조선어문』의 교육 내용이 북한보다는 남한의 교과서와 비교적 비슷한 수준이라고 확인하였다. 어종별 분포로 볼 때 『조선어문』은 남한이나 북한보다 한자어의 비율이 높은 대신 고유어의 비율이 낮고, 북한어와 함께 오래된 고유어, 한자어 어휘들이 많다. 이런어휘 분포는 조선족이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어권 내에서 정착 당시의 언어들을 그대로 계승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