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직후 조선연극동맹연구 ― 일제하 재일조선인 연극운동의 영향을 중심으로 ―
...this essay I considered the Tsukiji little theater in Koreans modern theatrical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prior to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Chosun Drama Alliance(朝鮮演劇同盟). Because the Tsukiji little theater was in the center of Japanese progressive theatrical movement, the experience of these activities played large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Chosun Drama Alliance...
[학술논문] 연극인 박영호의 해방 이후: 희곡 <겨레>를 중심으로
...이념극과 차별화된다. 작가는 다른 신념을 가진 여성인물 간 의 대립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며, 전환기를 살아가는 여성들의 서로 다른 선택에 의미를 부여한다. 또한 결말부에서는 팔로군(八路軍)을 등장시켜 민족반역자를 배제한 이후 사회주의 이념에 입각한 국제적인 인민의 연대를 제안하고 있다. 곧 <겨레>는 해방 후 박영호의 연극관이 전면화된 작품이자 조선연극동맹의 지향점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박영호의 혁명적 리얼리즘은 남한에서는 급진적 사회주의 사상으로, 북한에서는 무사상적, 퇴폐적인 자연주의라 비판받았고, 결과적으로 작가는 자신의 연극관이 남과 북에서 두 번 부정당하는 광경을 목도해야 했다. 여기서 그간의 작가 연구가 식민지시기의 연극 활동-텍스트에 집중되어 이루어졌음을 감안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