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90년대 중국조선족 시문학 비평의 쟁점들 - 『문학과 예술』, 『장백산』을 중심으로
...문예지를통해 서구의 문예이론을 소개하는 한편, 포스트모더니즘이나 탈이데올로기적 추세를비판적으로 수용하며 조선족문학이 추구해야 하는 현대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방향을 모색했다. 조선족문학의 현대성 논의는 조선족의 문화적 전통 및 특수성을 보여줄수 있는 문화정체성 형상화에 대한 모색으로 이어졌다. 한편 조선족 비평은 민족문화와 민족정신을 계승하고자 하는 목표 아래 세계 문학과의 교류와 소통을 제기하기도 했다. 비평가들은 세계 문학과 공감할 수 있는 문학의보편성을 획득하는 동시에 조선족 민족문화의 특수성을 형상화하고자 했다. 남영전의토템시는 그러한 노력의 성공적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1990년대 조선족 비평은 조선족문학만이 아니라 조선족 사회의 위기 앞에서 균열과 해체의 시대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학술논문] 중국조선족의 영웅 서사적 특징과 역사적 기억
중국조선족은 한민족 혈통에 중국 국적을 가진 경계인으로 그들의 삶에 대한 기억을 형상화한 문학도 그 범주가 불명확하다. 그러할수록 조선족 학자들은 조선족 문학의 특징을 발굴하여 중국 내외에서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였다. 본고 또한 이와 같은 의지의 표출로 중국조선족의 서사문학, 그 중에서도 그동안 개별 문학 연구 영역으로 다뤄지지 못하였던 조선족 영웅 서사의 특징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중국신시기(新時期)에 집중적으로 정리되고 창작되어 활자화된 영웅 서사 중 집단적 이념의 실현을 위해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 영웅의 행적을 서사화한 조선족소설과 연변 지역의 설화를 주요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살펴본 데 의하면 조선족 영웅 서사는 중국 17년(1949-1966) 문학 시기를 비롯한 1950~60년대 북한 문학...
[학술논문] 소수민족문학사 서술의 전략- 오상순 외의 『중국조선족문학사』를 중심으로
...남북한문학사라는 타자와의 동질과 차이를 구현함으로써 자기를 만들어가는 방식이 된다. 이는 문학사 서술의 행위 속에 자기정체성 정립의 욕망이 기입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 글은 이러한 인식적 전제를 바탕으로 중국조선족문학사 서술의 특수성을 자기정립의 욕망을 실현하는 전략으로 파악하고 그 구체상을 들여다보았다. 특히, 2007년 발간된 오상순 외의 『중국조선족문학사』에 주목하였다. 최초의 조선족문학사인 조성일 외의 『중국조선족문학사』를 참조항으로 삼으면서도 자기인식의 수정을 시도하는 자기성찰적 서술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문학사를 기점으로 조선족문학의 특수성은 ‘디아스포라’로 규정되고 있으며, 이는 조선족문학의 존재론적 위기를 극복하는 기재로 작용하면서 현재적 의미를 획득하고 있다.
[학술논문] 코리아 문학 통일과 디아스포라 담론의 욕망― 연변 문예지의 매체사적 쟁점
...미디어 콘텐츠의 매체사적 쟁점을 공시적으로 분석하여 조선족문학의 민족지적 정체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연변 문예지가 사회주의적 선전지로 출발했지만, 연변의 민족문화유산 교양과 조선족의 문학적 정체성, 그리고 친북한에서 친남한으로 대외관계가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변 문예지의 정체성은, 중국 당국의 정책 선전지라는 기본 전제 위에 ‘(중)조선족-(북)조선-(남)한국’을 문화적으로 소통하는 창구 구실도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조선족의 문학적 독자성이다. 가령 김일성이 창작했다는 북한의 혁명가극 <피바다>와 《연변문학》(1959)에 수록된 까마귀의 촌극 대본 「혈해지창」 논쟁이 좋은 예이다. 이를 간과하고 조선족문학을 코리아문학 남북의 통일과 디아스포라 담론으로 통합하려는...
[학술논문] 남북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코리언의 문학적 상상력과 치유의 길
...급변하게 하는 생이별의 아픔을 그려내며, 통일 염원에 대한 ‘탈’이데올로기적 사유를 나타낸다. 그리고 중국 조선족 문학에서는 이산가족 상봉이 서로의 ‘마음의 장벽’을 확인하는 순간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면서 남과 북, 그리고 조선족 자신에게로 향한 성찰적 태도를 보여주었다. 남한의 문학에서는 핏줄보다 더 강렬하게 느껴지는 ‘낯섦’의 문제를 집어내고 있으며, 이산가족 상처에서 야기된 가족 갈등을 현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그리고 코리언들의 문학적 상상력에는 현실 비판에서 나아가 치유의 길도 제시하고 있다. 북녘과 조선족의 문학에서는 탈이데올로기적 통일의 길과 얼굴을 마주한 소통의 필요성을 상상하고 있다면, 남녘의 문학에서는 나에게도 결핍되었던 무언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