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0년대 북한과 북베트남의 관계와 문화 교류: 1956년 조선 문화 대표단의 활동과 관련하여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베트남민주공화국(북베트남)의 양국 관계가 발전하게 된 배경과 과정에서 문화 교류가 담당했던 역할을 1956년 말 평양에서 하노이(Hà Nội)로 파견된 조선 문화 대표단의 활동과 관련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1950년부터 형성된 북한과 북베트남의 관계는 한국전쟁과 공식적인 외교관계 확립을 계기로 공고해지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점차 깊어지게 된 양국의 유대감은 북한이 북베트남으로 대표단과 예술단을 파견하는 양상으로 표출되었다. 특히, 이 시기에 등장하기 시작한 문화 교류는 1956년 공산 국가들 간의 공조 분위기에서 보다 다채로운 형태로 전개되어 나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더욱 긴밀해진 북한과 북베트남의 유대 관계는 1956년 말 조선 문화 대표단의 북베트남...
[학술논문] 한국전쟁과 문화(인)의 배치 - ‘적치 90일’의 선전선동사업과 문화공작대 활동
...기간에 실시된 선전선동사업에 주목하여, 특히 문화(인)의 동원양상을 『해방일보』를 통해 살펴보았다. 소위 ‘적치 90일’로 알려진 이 기간을 전쟁의 의미화가 진행되는 과정으로 보고, 점령기 미디어와 문화․문학 활동에 나타난 특징을 논의한 것이다. 북한은 전쟁 초기부터 선전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전방위적이고 총력적인 선전활동을 실시했다. 북한은 전전 5년간의 문화사업을 바탕으로 선전원-문화선전실-서클사업의 연계 체제를 구축했고, 하부 조직이나 선전원을 선전대상에 따라 분류 배치하였다. 실제 선전활동에 있어 공연예술 형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소대로 편성되어 지방을 순회할 때는 기동성에 유리한 음악과 무용이 중심이 되었다. 그래서 문화예술가들의 동원이 두드러지는데, 특히 문학인들의...
[학술논문] 중국과 북한의 미술교류 연구 - 1950년대를 중심으로
...Sketches of Battlefield in North Korea(『朝鮮戰場速寫』) was translated into Chosôn Chônjang Soksa in Korean and distributed to North Korea. The second phase is the period of post Korean War(1953-1958). The art exchanges between two countries were regularized through the 'Economic and Cultural Agreement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中·朝經濟文化合作協定)'. The prominent artists of north...
[학위논문] 북한 음악수재 교육 연구
...‘경애하는 김정은 원수님’에 대한 감사를 잊지 않았다. 이것은 북한 음악수재 교육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음악 전문교육과 정치사상 교육의 결과이기도 하다. 그리고 2018년에는 평양에서 제1차 평양 국제성악콩쿠르를 개최하였다. 북한은 2016년 조선로동당 제7차 대회에서 사회주의 강국 건설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사회주의 강국 건설을 위하여 사회주의 문명강국을 세우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제시하면서 무엇보다 교육사업을 발전시키는 것과 함께 문예 부문에서는 사회주의 문화와 생활을 철저히 고수할 것을 중요한 과업으로 내세웠다. 김정은 시기에 들어와서 모든 부문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하지만 해방 전 김일성이 항일운동을 하면서 창작했던 음악을 북한 음악예술의 시원으로 보는 이론적 뿌리는 음악수재 교육에서 계속 유효하게...
[학술논문] 동독과 북한의 학생교류사: 사회주의 형제국가 간의 문화․외교정책의 마지막 단계에서
...6․25 전쟁 당시 사회주의 연대 캠페인 내에서 일방적인 방식으로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도 학생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 1952년에 북한의 첫 학생대표단이 동독 베를린에 도착했고 뒤이어 베를린 장벽이 세워질 때까지 다섯 번이나 계속해서 학생대표단이 동독으로 갔다. 북한학생들은 이전에 해외생활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학습 및 생활 여건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착 후 처음 몇 년 동안 동독의 대학들은 대규모의 북한학생그룹을 돌보아야만 했다. 본 연구에서는 동독 고등교육기관의 사료에 근거해서 1958년부터 1990년 동독의 붕괴까지 동독과 북한 간 학생교류의 실제와 종결까지의 과정을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동독 문화정책안에 숨겨진 교류에 대한 동기, 구조, 구상 및 그 결과를 제시하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