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이후 《동학사》의 비판적 수용과 농민전쟁연구
...쓰여졌다는 의미에서 역사서로서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동학사》의 내용 검토에서는 해방이후 ‘동학’의 주도성과 ‘종교적 외피론’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우선 동학 지도층과 조직에 대한 서술은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기본적인 구도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연구에서도 동학과 농민전쟁의 결합성을 강조하고 1890년대 동학사상과 조직의 거대화와 아울러 농민반란의 이념과 조직으로 전화되었음을 강조하였다. 반면 북한학계에서는 초기에 이청원과 같이 농민들의 사회경제적 개혁 지향과 ‘동학’이라는 종교적 외피를 강조하였으나 이후 오길보는 양자의 관련성을 철저히 부정하였다. 한국학계에서도 농민전쟁의 주도층과 참여층에서 동학이 아닌 농민층을 주목하였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