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월남시인의 삶의 두 방향 - 박남수와 양명문의 경우
이 논문은 해방전쟁기 월남 시인들의 삶과 문학을 통하여 전쟁과 이데올로기가 이들의 삶과 시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대상으로 남과 북 양쪽의 이데올로기를 모두 겪은 시인으로서 박남수와 양명문의 경우를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이 문제는 북에서는 ‘당의 문학’의 수용, 남에서는 ‘반공이데올로기’의 수용이라는 그 내밀하고도 민감한 문제에 접근하는 일이기도 하다. 월남 시인으로서 박남수와 양명문을 대상으로 삼은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둘 다 평안도 출신으로서 북한에서 이미 시인이었고, 북의 체재를 옹호하는 시를 발표했다는 점. 둘째, 월남시인으로서 남한 사회에서의 이들의 삶의 양태가 극단적이라는 점. 셋째, 전쟁기 양명문이 <문총구국대(文總救國隊)>
[학술논문] 전향자로서 자기 증명과 휴머니즘- 해방 이후 박영준의 글을 중심으로
...새로운 문학적 방향 탐색하는데, 백철의 “신윤리”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박영준은 이후 인간적 고뇌와 관계를 고민하는 휴머니즘적 작품을 발표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전쟁 발발 당시 북한 괴뢰군의 포로로 잡혀 노역했던 경험 때문에 발생한 ‘자기 증명’이다. 이는 「노예의 노동생활」에서 보여준 반공 수사를 통해 진행된다. 이후 종군작가단에서 근무하게 되며, 종군작가단 중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여준다. 이 당시 《전선문학》의 ‘선전’ 활동으로 인해 적극적인 휴머니즘을 추구하진 못하지만, 「용초도근해」를 통해 소박한 휴머니즘의 성취를 이룬다. 이처럼 박영준은 해방 이후 일관되게 인간의 고뇌를 담은 휴머니즘적 방법론을 추구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