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민족주의와 다민족 연방제
다문화주의는 원주민과 소수민족 문제를 캐나다식 다민족 연방제로 해결한다. 남 한과 북한은 민족주의에서 종족민족 개념과 신화민족 개념을 공유한 단일 민족이었다. 남북한은 자유주의와 사회주의의 이데올로기 차이 때문에 남한이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입각한 자유주의 민족국가를 건설하고 북한이 사회주의 민족국가를 건설하였다. 남한은 민족 개념에서 최근에 서구식의 시민민족 개념을 수용하는 중이다. 서구는 시민민족 개념으로 민족국가를 건설해서 민족과 국가가 하나로 결합되어 있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남한과 북한은 각각 별개의 민족국가로서 더 이상 민족통일의 당위를 말할 수 없다. 다른 한편 서구의 시민민족 개념은 단일 언어가 기준이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남한과 북한은 단일 언어 한국어를 사용해서 여전히 시민민족 국가들이므로...
[학술논문] 한민족문학과 한국어문학의 개념 그리고 민족의 관계양상
본고는 종족 민족주의적 시각에서 애국계몽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근대주의적 민족론의 문제를 재검토하면서 민족과 문학, 언어의 관계 양상을 복합적으로 드러내는 작가들을 통해 한국문학, 한민족문학, 한국어문학 등의 개념, 그들과 민족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우리 조상들은 한반도와 동부지역에서 살다가 한반도로 이주하거나 동부지역에 잔류하면서 다른 민족과 섞여 살았다. 우리 민족을 한민족 혹은 백의민족으로 주장한 것은 애국계몽기에 발흥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민족적 위기에 처하여 애국계몽운동가들은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단일민족 이데올로기를 내세웠다. 우리 민족은 1860년대로부터 세계 여러 나라에 이주하여 중국, 중앙아시아, 일본, 미국, 유럽 등지에 700만 명 정도가 살고 있다. 한국문학...
[학술논문] 민족의 해체 시대에 남북 분단의 고착화의 극복과 통일을 이루는 한국 신학으로서 통일신학의 길 모색
...이 문제에는 지난 20세기 동안 한반도에서 자라난 종족 민족주의에 대한 환상과 그에 따른 남북통일에 대한낭만적인 생각에 대한 실질적인 비판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한반도 분단체제를 극복하기 위한 길로 민족 개념의 유효성을 바탕으로 낭만적인 통일의 길의 한계를 지적하고, 보다 실질적인 길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첫째, 본 글은 현재 한국에서 민족 개념에 대한 박찬승, 백낙청과 신기욱의 인식을 살피고 민족 개념의 유효성을 해명한다. 이들은 3 ․ 1운동을제국주의적 민족 개념과 구분되는 민족 자주와 해방을 지향하는 민족 정체성의 근간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분단의 상황에서 민족 담론의 의미를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이는 종족 민족주의 한계를 머무르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19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