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장>의 낙원회귀 고찰
...세 공간이나타내는 정치체제와 그것의 이데올로기를 탐색하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탐색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그가 낙원으로 회귀하고자 바다에 뛰어드는 일은 신내림 속에서 그에게 예정된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이명준의 낙원회귀에는 죽음에서 재생한 두 갈매기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전에는 두 마리의 갈매기가 윤애와 은혜의 분신이었는데 전집판 <광장>에서는 은혜와딸로 바뀌고 있다. 이때에 지모신과 같은 존재인 은혜가 딸과 함께 이명준을 낙원을 상징하는재생의 공간인 바다로 인도하여 신비적 구원을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광장>의 개작을 통해 최인훈이 낙원회귀 지향을 강화하고 있는 이유를 크게 세가지로 파악할 수 있다. 첫째는 국내의 역사적 상황의 변화 속에서 최인훈이 점차 역사보다신화를...
[학술논문] 탈북자의 고통과 그 치유적 가능성- 탈북 작가가 쓴 소설을 중심으로
...탈북자들에게도 그 사실을 함구하게 되고, 복녀는 중국 남편의 자식인 딸 청이에게서 아버지의 국적을 부정한다. 또한 중국에서 노래방으로 팔려 다닌 경옥은 신체적 상실감을 돈으로 보상받으려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화는 치욕스러운 과거를 토해내면서 잃어버린 언어를 재생하고, 복녀는 딸에게 아버지의 존재를 비밀로 만드는 것은 자신의 삶에 대한 부끄러움보다 종속당하지 않은 삶을 원했던 북한 여성 특유의 주체성을 획득한다. 경옥은 다소 비약적인 발전이기는 하지만 선화의 죽음이 계기가 되면서 영원한 것이 없다는 각성을 하게 된다. 두 번째, 남한 정착과정에서 경제적 차이로 말미암은 사회적 낙인을 치유해가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탈북서사와는 달리 『청춘연가』의 특색은 탈북자 대 남한의 차이뿐만 아니라 탈북자 내 존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