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외동포 현지 교과로서의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이 연구에서는 재외동포 현지 교과인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을 ‘모국어 교과’, ‘분단 상황에서의 중간자적 언어 교과’, ‘재외동포 현지 교과’ 차원으로 구분하여 그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첫째, ‘조선어’ 교과는 ‘모국어 교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중국 내 공용어로서의 ‘중국어’와 모국어인 ‘조선어’의 위상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공용어인 ‘중국어’와 모국어인 ‘조선어’에 대한 조선족의 인식 실태 조사를 학생...
[학술논문] 분단 상황에서 중간자적 언어 교과로서의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어 문법 영향 관계 분석 연구 -문장 단위 문법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이 논문에서는 조선어문 선택 교과로서의 <문법> 교과서와 남북한 문법교과서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조선어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의 국어문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와 남북한 문법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문장 단위 문법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문장 단위 교육 내용 특징으로 1) 구어 중심, 2) 의미 중심, 3) 양태 중심, 4) 문장 단위 중심을 들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선어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의 국어 문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교육과정 변화에 따라 문법 교과서 기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는지에 대한 사적 고찰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