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기 한중영화 교류 연구
...영화 교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해방기 한중 영화의 교류는 남한과 중국국민당 사이의 교류와 북한과 중국공산당 사이의 두 가지 축에서 이루어졌다. 남한에서 수입한 중국국민당 영화는 총 열 편이 넘었으나, 중국으로 수출한 영화는 <자유만세> 한 편밖에 없었다. 한편, 북한에서 수입한 중국공산당 영화는 <다리>를 비롯한 총 3편이었으며, 반대로 북한에서 중국으로 수출한 영화는 <내 고향> 한 편이 전부였다. 이 시기에 등장한 영화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중 사이에 교류한 영화들은 주제뿐만 아니라 그것들이 갖고 있는 시대적 특징까지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중국에 수출된 <자유만세>는 중국국민당 입장에서 바라본 항일전쟁과 맥을 같이하고 있고, <내 고향>의...
[학술논문] 국공내전 시기 북한의 중국공산당 지원에 대한 재검토: 경제사회적 원인을 중심으로
이 글은 북중관계의 기원인 국공내전 시기 중국 동북지역 조선인들의 공산당 지원과 중국공산당의 대북한 정권의 경제적 지원을 재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국공내전 시기 중국공산당의 대북한 정권에 대한 물질적 지원이 북한 정권 수립에 경제적 토대를 마련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일반 동북지역의 조선인들이 중국공산당을 지원하게 된 것은 중국 국민당의 차별정책과 경제적 원인이 크게 작용하였다. 중국 공산당은 지역 조선인들의 협력이 절실하다고 판단하였고, 조선인들에게 중국인들과 동등하게 토지를 분배해주었고 이중국적으로 허용하여 적극적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국공내전이 치열한 당시 중국공산당은 ‘동북국판사처’라는 조직을 통해 현재 북한 지역을 후방기지로서 활용하였다. 중국공산당의 식량 지원을 비롯한 경제적...
[학술논문] 대만해협양안관계의 ‘국가통합모델’로서의 의미에 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과 대만의 관계, 즉 대만해협양안관계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현황과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국가통합모델로서 ‘대만해협양안관계모델'의 특징을 논하는데 있다. 중국의 국가분열은 중국공산당과 중국국민당의 내전의 결과 1949년에 형성된 것으로, 1948년 분열된 남북한보다 1년 뒤에 이루어졌다. 1970년대까지 국제적 냉전의 영향으로 대만해협양안도 남북한과 마찬가지로 철저한 이념체제의 적대적 대립관계에 처해 있었다. 1980년대 말부터 대만해협양안 사이에 인적 물적 상호개방이 시작되었으며, 이제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교류뿐만 아니라 정치적 교류의 제도화를 논할 만큼, 남북한에 비해서는 성공적 통합과정에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한반도의 남북한은 1970년대 초부터 각종 회담을...
[학술논문] 국공내전 시기 중국공산당의 동북지역 조선인에 대한 인식과 정책
...건설하고, 현지에서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면서 싸웠기 때문에 중국국민당과 달리 현지 거주민에 대한 정책은 우호적일 수밖에 없었다. 특히 중국 동북지역은 북한과의 국경이 맞닿아 있어 중국의 다른 지역보다 많은 조선인이 살고 있었다. 중국공산당이 중국국민당에 비해 절대적으로 열세인 상황에서 북한은 중국공산당에 있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국경이 서로 마주보고 있어 후퇴하는 중국공산당 군대와 군속들을 받아들이는데 유리하였고, 북부지방과 항구도시들을 중국국민당의 점령으로 끊어진 南滿, 北滿과 關內, 關外를 잇는 교통로로 제공하였다. 당시 북한이 중국공산당을 지원한 이유는 미군이 남한에 주둔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지원을 받는 중국국민당이 동북지역을 장악할 경우 북한은 남북으로 미국의 위협을 받게...
[학술논문] 북한의 경계·국경 인식과 북·중 접경지역 경비(1945~1947) - 국경경비대를 중심으로
...북·중 접경지역에 대한 경비는 1945년 9~11월 동안 소련군이 전담하다가12월부터 북한정치세력이 조직하기 시작한 국경경비대가 담당했다. 접경지역의 제1선은 1946년 6월까지 국경경비대가 담당했으나, 1946년 7월부터 중국국민당이 접경지역을 점령하자 소련군이 담당했다. 또한 북한정치세력은1947년부터 중국국민당이 동북지역을 대부분 점령하자 국경경비대 대신 인민집단군을 접경지역에 전면적으로 배치했다. 그리고 북한정치세력은 1946년부터 중국공산당과 중국국민당의 월경행위에 대해 각각 제한적 허용정책과 전면적 저지정책을 구사하였다. 북조선분국은 38선을 한반도의 지리적 경계로 인식한 것과 달리 북·중 접경지역을 한반도에 건설할 국민국가와 중국의 국경으로 인식했으며, 이와 같은인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