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동포정책의 통일 및 경제 측면에서의 의의
...한국정부의 중국동포정책이 지니는 통일 및 경제 측면에서의 의의를 조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중국동포정책은 외국인 출입국 및 노동자정책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중국이 미국과 더불어 세계를 지배하는 이른바 G2 시대의 도래와 한반도의 통일을 앞둔 시점에서 중국동포정책은 그러한 기존의 패러다임을 뛰어넘어야 한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중국동포들은 이미 한중관계의 발전, 그 중에서도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에기여하였다. 남북한관계 및 한반도 통일과 관련하여서도 중국동포들은 큰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제 중국동포정책은 통일외교정책 및 통상정책과 반드시 연계되어야만 한다. 중국동포에 대한 동정이나 혐오의 차원을 벗어나서 그들이 지닌 전략적 가치에 주목하고, 그에 맞게 중국동포정책을 재조정할 때다. 중국동포에 대한 재외동포법...
[학술논문] 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과 통일과정에서의 역할
... 등 실질적인 협력프로그램이 절실하다. 한국사회에서 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은 다문화범주에 중국동포,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일반성과특수성이 제기되는 바, 이들에 대한 정부정책과 한국인의 사회인식은 미래지향적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은 남북관계와 한중관계의 발전과 협력 이외에 미래 남북통일과정에서 북한의 개혁·개방과 국제사회 연착륙에 필요한 중재자와 동력자원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
[학술논문] 통일 후 북한지역 치안인력양성방안
...강화하여야 한다. 해양경찰의 경우 해양경비의 강화와 북한난민의 보트피플화에 대비한특수구조단의 구조능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국가정보원과 검찰ㆍ법원 등 사법기관에서도 북한지역 치안안정을 위한 법제 정비 등 구체적 대응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궁극적으로는 통일정착과정에서 북한지역 치안을 담당할 인력을 미리 양성할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경찰공무원 채용ㆍ교육과정에서부터 관련과정을 신설하고 대학 등 민간교육기관에서도 북한사회에 대한 이해와 치안안정을 달성할 수 있는 전문적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통일ㆍ북한학과 경찰학과정이 연계하여 인재를 육성하고 특히 중국동포(조선족 디아스포라)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교육 및 협력관계를 제고하여 전문적인 북한지역 치안담당인력으로 양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학술논문] 중국의 소수민족정책과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한족과는 다르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스스로 이방인이라고 느끼는 조선족들 가운데는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남한과 북한사이, 한국과 중국 사이에서 ‘중국 동포’가 될 것인지 중국인이 될 것인지를 두고 고민한다. 그리고 2017년의 시점에서 조선족 디아스포라는 또 다른 딜레마에 봉착하고 있다. 강한 중국의 부상이라는 새로운 변수와 조선족 사회의 해체라는 새로운 위기에 당면한 것이다. 또한 조선족은 사드문제나 북핵문제로 중국의 한반도정책이 변동될 때마다 난처해진다. 이것이 중국 조선족의 벗어날 수 없는 굴레이고, 그 근저에 존재하는 핵심이 바로 ‘정체성’의 문제이다. 지금 조선족사회는 또 다시 디지털유목민이 되거나 해체되어 세계 각지로 이동하고 있다...
[학술논문] 중국소수민족정책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반도 통일
...쓰고 있다. 조선족은 중국 55개의 소수민족 가운데 가장 최근에 형성된 민족으로서 중국 내 소수민족의 배후에 세계에서 영향력이 큰 형제국가(한반도)가 인접해 있는 몇 안되는 소수민족이다. 한반도는 남한과 북한이 분단되어 있지만 향후 통일이 될 경우 중국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미래 동반자의 위치인 동시에 안보적으로는 자국 내 소수민족인 조선족을 자극할 수 있는 위험성을 함께 지니게 된다. 이런 점에서 중국은 가급적이면 중국내 조선족의 위상을 약화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통일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의 정부는 중국 내 조선족 공동체를 살리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 방법은 조선족 공동체가 중국 내에서 와해 되지 않도록 정부는 간접적으로 경제적 지원을 해야 하고;국내에 들어와 있는 중국동포들의 부정적 인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