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사건 경험 및 외상 후 성장 연구
...9%는 2개 이상의 중복경험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다양한 외상사건 중 가족 관련 외상사건과 또래 관련 외상사건을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사건 경험은 출생국가, 외상사건 경험국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중국 출생 탈북청소년은 제3국에서의 외상경험이 높고, 가족 관련 사건에서 높은 경험을 보인 반면, 북한 출생 탈북청소년은 남한에서의 외상경험이 높고, 사회 관련 사건에서 높은 경험을 보였다. 한편, 이들은 북한 및 제3국에서의 외상사건 경험 외에도 정착 후 남한에서의 경험이 적지 않게 나타났는데, ‘친구의 따돌림’, ‘부모의 이혼’, ‘모르는 사람의 강도·폭행’이...
[학술논문] 통일 후 사회통합을 위한 중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이중언어사용 활용 방향
...탈북배경청소년들은 대체로 4유형으로 구분되며, 북한출생 탈북청소년, 무연고 탈북청소년, 중국 등 제3국 출생청소년,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출생 자녀이다. 법적 지원은 이들이 어디서 출생했는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중국 출생 자녀의 특성에서 잠재적 이중언어사용 가능성과 중국, 북한, 남한의 세 가지 정체성을 지닐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이 4가지 유형의 청소년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중국 출생 북한이탈주민자녀의 문제 상황을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통일부의 지원정책 및 서비스를 분석하여 향후 통일 후 사회통합을 위한 중국출생 북한이탈주민자녀에 대한 이중언어사용 활용 방향의 효과적 지원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중국 출생 자녀의 이중언어사용 활용 방안은 통일 후 한국의 사회통합을...
[학술논문] 북한출생과 중국출생 탈북청소년의 언어경험과 영어(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대안학교의 재학생 30명(북한출생 17명과 중국출생 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기본배경조사(10문항), 언어인식과 경험(19문항), 영어학습동기 (18문항), 자아존중감(10문항)의 4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리커트형식의 문항들과 서술형 문항들을 포함한다. 모든 설문 응답 내용은 엑셀파일로 정리하고 객관식은 기술통계 수준에서 분석하고, 서술형은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탈북 청소년들은 출생지와 이주경로 등에 따라 다양한 언어경험과 언어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영어 노출 기간이나 영어학습 경험 등에서 개별적으로 크게 차이가 났다. 일반적으로 탈북학생들은 자신의 영어능력을 낮게 평가하였고, 특히 북한출생 학생들은 중국출생에 비해 영어수업을 접한 경험이 적고 자신의...
[학술논문] 탈북청소년 부모의 우울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우울과 사회적 관계의 이중매개효과와 개인적 특성요인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
...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탈북청소년의 학교적응 구조 모형 경로는 개인적 특성 요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성별 구분에 따른 경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초등·중등의 학교급과 북한 출생·중국 출생의 출생국 구분에 따른 경로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탈북청소년 가정의 우울 관리 및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변용유형의 결정요인: 개인적 특성, 가족요인, 친구요인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청소년의 문화변용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및 관계적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13세 이상 24세 이하의 탈북청소년 12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탈북청소년의 문화변용유형은 주변화(30.2%), 동화(26.4%), 분리(25.6%), 통합(17.8%)순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문화변용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 중에는 출생국이 문화변용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출생 탈북청소년은 중국출생 탈북청소년과 비교해 다른 유형보다는 동화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컸는데, 북한출생의 경우 동화, 주변화, 통합, 분리유형 순으로, 중국출생의 경우 분리, 주변화, 통합, 동화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