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문제: 문헌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탈북한 부모 배경에, 이주 경험이 있고, 중국과 남한에서 맥락화 된 중첩적 특성의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문제에 주목하여 이들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도모하고 존재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2016년 2월 19일까지의 언론보도자료, 국내·외 실태조사보고서, 학술논문 등 관련 모든 문헌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분석법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을 누구로 규정하며 이들에 대한 담론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들의 교육 현안은 무엇인지, 이들의 혼종적인 경계경험이나 특성이 한국 미래교육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이들은 다중 경계의 접합을 드러내고 다양한 차원의 경계 와해를 촉구하는...
[학술논문] 중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아버지가 조선족인 두 한국 대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연구는 중국에서 탈북 여성 어머니와 조선족 아버지 사이에 태어나 현재 한국 국적을 취득하여 한국에서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두 청년이 한국에 들어오기 이전에 중국에서 어떤 문화적 정체성 이야기를 살아왔고, 한국에 들어와서 국적을 취득한 이후에는 어떠한 문화적 정체성 이야기를 살아내는지를 탐구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중국에서 부모님과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조선족으로서의 민족 정체성과 중국 사람으로서의 국가 정체성을 동시에 형성하면서 인지적, 신체적 수준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정서적 수준에서는 차이점을 보였다. 한국 국적을 취득한 이후에는 한 명은 처음에는 문화적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였지만, 나중에는 ‘중국 사람, 서서히 한국...
[학술논문] 탈북 교사의 시각에서 본 탈북 아동의 부모애착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함의
...탈북 부모와 자녀의 애착관계를 질적연구로 살펴보았다. S시에 소재한 탈북아동의 기숙형 대안학교에서 사감교사로 재직 중인 탈북교사 2인의 시각으로 탈북아동이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본 부모-자녀 애착관계를 심층면담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는 1) 북한에서 영아-부모와의 애착관계는 자녀양육의 주체가 정부중심의 탁아소에서 기아 등의 경제난과 ‘박살난 탁아소’가 되면서 어머니로서 전환되었으며 어머니-자녀와의 애착관계 형성은 남한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았다. 2) 중국에서 출생한 아동이 주류인 제3국에서 출생한 아동인 경우는 위기상황으로 애착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수가 한 부모가정으로 부모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월1회에 그치는 간헐적인 접근성과 자녀의 요구에 둔감하며...
[학술논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아동청소년)의 삶의 제한성으로부터 가능성 연계과정에 관한 연구: 북한출신 양육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자녀를 양육한 북한출신 어머니가 인식한 중국과 남한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과거를 보듬으며 성장 가능성을 연계, 확대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구축하고자 함이다. 눈덩이 표집방법에 따라 총10명을 2014년 8월부터 12월까지 심층면접하였다. 연구 질문은 ‘북한출신 양육자가 인식한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아동청소년)의 삶의 제한성으로부터 가능성 연계 과정이란 어떠한 의미인가’였다.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총 4개의 범주, 1) 중국에서: 그늘진 생에서 버팀목이 된 자녀, 2) 남한이주 과정에서: 힘겨웠던 생존의 터널을 빠져나감, 3) 남한입국 후 하나원에서: 어린 이방인에 대한...
[학술논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문제: 문헌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탈북한 부모 배경에, 이주 경험이 있고, 중국과 남한에서 맥락화 된 중첩적 특성의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문제에 주목하여 이들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도모하고 존재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2016년 2월 19일까지의 언론보도자료, 국내·외 실태조사 보고서, 학술논문 등 관련 모든 문헌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분석법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을 누구로 규정하며 이들에 대한 담론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들의 교육 현안은 무엇인지, 이들의 혼종적인 경계경험이나 특성이 한국미래교육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이들은 다중 경계의 접합을 드러내고 다양한 차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