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족 동포의 신문 읽기에 나타나는 어휘 양상 분석 중국의 한글 신문을 중심으로
본고는 중국 동북 3성 지역의 8개 신문사의 한글 신문 최신 기사를 대상으로 중국 조선어의 어휘 사용 양상을 조사하여 중국 조선족의 어휘 사용실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중국 조선족들의 한국어 어휘교육에서 어휘 목록 선정에 일조할 수 있으며, 한국어와 중국 조선어의 어휘적 간극을 좁혀 중국 조선족들의 한국 현지 생활에서 오는 읽기 활동의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중국 조선족은 중국 조선어, 북한 조선어, 한국의 한국어를 복합적으로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중국 조선어가 전통적으로 북한의 조선어의 영향만 받다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국어를 대거 수용하면서 중국 조선어 내의 사용 어휘가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된 것이다. 이러한복잡한...
[학술논문] 1948년-1949년 하얼빈 한글신문 民主日報 분석
본 논문은 1948년-1949년 북만주지역과 동만주지역 한인들을 대상으로 발행한 한글신문민주일보의 제반사항을 고찰한 것이다. 1948년 4월에 중공중앙 동북국의 명령에 따라 목단강의 한글본 인민신보, 하얼빈의 한글본 신민일보, 조선의용군 제삼지대의 한글본 전투보와 아동보를 통합하여 한글본 민주일보가 만들어졌다. 민주일보는 만주에 거주한 조선인들이 중국인과 더불어 당과 인민을 위해 살아있는 신문을 만들고자 했다. 1949년 3월에 연변일보로 병합되어 폐간되었다. 오늘날 중국국가도서관과 연변대학도서관에 원본 8개월분, 개인에 복사본 2개월분이 각각 소장되어 있다. 나머지 2개월분은 소장처 미상이다. 민주일보사의 초대 사장은 주덕해이다. 본사에는 편집부와 업무부를 두었고, 편집부 아래에 각 지역 통신원과 연락하는...
[학술논문] 한민족문학과 한국어문학의 개념 그리고 민족의 관계양상
...맞서 단일민족 이데올로기를 내세웠다. 우리 민족은 1860년대로부터 세계 여러 나라에 이주하여 중국, 중앙아시아, 일본, 미국, 유럽 등지에 700만 명 정도가 살고 있다. 한국문학, 북한문학, 해외 한인문학은 한민족의 삶과 애환을 형상화하고 있는 점에서 한민족문학으로 묶일 수 있다. 한글문학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대한제국의 언어정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학교에서 한글을 가르치기 시작하였고 공적 영역에서 한글문체 사용의 범위가 확대되어 갔다. 춘원은 한글문학장의 형성에 큰 역할을 했고, 국내외 신문과 잡지 혹은 단행본 발행을 통해 한글문학장이 순조롭게 전개되었다. 그런데 본격적인 전시 체제에 들어가면서 한글과 한국사 교육을 금지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민족어를 지키는 것이 얼마나 험난한 여정인가를 확인할...
[학술논문] 해방이전 중국 조선인 문학의 전개양상과 주제의식
... 간도/만주지역 조선인 문학은 한국의 근대역사의 관점에서 구한말/일제강점기 간고했던 조국바깥에서 진행되었던 우리 근대사의 소중한 기록물이라는 점, 한국 근현대문학사에서 공백으로 남아있는 문학적 지점을 채워준다는 점, 해외 한인문학지형(구소련권/미국/일본/브라질 등)의 관점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문학사적 의미가 적지 않다. 특히 일제강점기 중국의 간도/만주지역 조선인 문학은 한국문학을 비롯해 중국의 근현대문학, 북한문학과 연계시켜 조명하는 과정에서 단순한 과거형의 한글 기록텍스트가 아닌 미래의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