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리산권 빨치산의 형성과 활동
...본격적으로 시작된 공간적 배경은 지리산 일대였다. 지리산이 빨치산들의 유일한 활동 지역은 아니었으나 매우 유력한 활동의 근거지였다. 최종적으로 지리산은 모든 빨치산 활동이 종료된 곳이기도 하다. 한국전쟁 전후 빨치산 조직과 활동은 크게 세 국면의 극적 전환을 겪었다. 여순사건 이후 최초의 빨치산 활동은 지역적 요인에 의해 자생적으로 발생했다. 유격투쟁은 1949년 하반기부터 외부적 요인으로 일시적으로 고양되었다가 동계토벌로 소멸 직전에 이르렀다.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으로 인민군이 패퇴하면서 지역 유격대가 재정비되어 6개의 각 지방당 조직은 산악으로 들어가 거점을 구축했다. 경남도당 유격대는 그 중 가장 이른 시기에 결성되어 지리산을 거점으로 활동했다. 전쟁 전 지리산에서 활동하던 이현상부대는 1950년...
[학술논문] 산림 휴양기능의 거시적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45개의 산림 휴양기능량을 평가하였으며, 산의 면적, 산의 높이, 산까지의 거리, 배후지 인구규모, 공익용산지 면적 비율 등을 기초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모형의 적정성은 산림 휴양기능량과 인기 산 순위간의 상관관계로 검증하였으며, 상관계수는 0.575이었다. 산림 휴양기능량 분석결과를 보면, 지리산을 포함한 상위 8개 산들이전체 휴양기능량의 약 64%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위면적당(km2) 휴양기능량은 지리산, 설악산 등의명산이 북한산과 같은 대도시 인근의 산보다 낮게 평가되었다. 그 원인은 산의 면적, 접근거리 등과 같이 산림 휴양기능량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의 차이에 있었다. 즉, 국·도립 공원의 산림 휴양기능량은 산의 면적에 따라 90% 이상이 결정되는 반면, 산으로의 접근 거리는...
[학위논문] 북한 산림경관 생태적 복원모형 개발
...test 결과는 15개 생태지역 간 차별성을 나타낸다(p value 0.000). 남부 산악 생태지역과 영서 중·산간 생태지역은 연평균 강수량과 토양수분 함유량 최대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사하였다. 그러나 15개 생태지역은 지역적으로 각기 독특하게 분류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주도와 남해안의 남부해안 생태지역은 상록활엽수림 분포지로 확인되었다. 지리산과 태백산의 남부 산악 생태계는 주목과 구상나무의 아고산침엽수림이 분포하였다. 남부 평야지역 생태계에는 아고산수종이 나타나지 않았다. 자연식생의 출현이 남한의 생태지역별로 타당하게 설명되었기 때문에 북한의 생태지역도 이와 유사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생태지역은 연구자의 주관적 조정이 배제되었기 때문에 선행연구의 지역구분 보다 더 객관적이었다. 생태지역마다...
[학술논문] 강원지역 공비토벌 연구 - 1948 ~ 6·25전쟁 직전까지 -
...‘유격투쟁’을 조직적이며 좀 더 대규모로 운영하기 위한 것이었다. 공비들의 활동이 더 활발했던 시기는 단독정부가 수립된 1948년 8~9월 이후부터이다. 1948년 11월 강원지역에는 태백준령을 타고 넘어온 인민군유격대가 기존 남로당 조직과 연대하면서 세력을 확장하였고, 이에 대해 군경은 협력하여 무장공비들을 소탕·섬멸시켰다. 군경에 의한 강원도 지역 공비토벌의 성과가 내포하고 있는 전쟁사적 측면에서 의미는 첫째, 강원도 오대산뿐만 아니라 태백산, 경상북도 내륙 산간, 지리산 지역으로 연결되는 공비들의 이동 및 병력과 무기 공급을 차단시키데 기여하였다는 점, 둘째,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남침한 이후 북한군과 남한 내의 무장공비와의 연대 약화 현상이 발생되었다는 점 등이다.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중국어로 번역된 김사량 작품 연구
...한 그의 특이한 이력에 걸맞게 해방 이전 소설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이와 달리 해방 이후 김사량 문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한 편이다. 문학 연구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작가의 작품 연보조차 제대로 작성되어 있지 않을 정도이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바 없는 자료인 「남조선인민유격대 수령 김달삼」, 「조선인민유격성지 - 지리산」, 그리고 「투쟁적 조선농촌」을 새롭게 발굴하였다. 본고에서는 세 작품을 학계에 처음 소개하는 단계인 만큼, 가능한 그 기본적인 내용을 충실하고 상세하게 분석하여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인 작업으로 북한 문학을 비롯한 외국문학이 중국에서 번역된 양상과 배경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 종군문학 작품들은 유격대의 전투실화를 현지보고식으로 간결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