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지명의 후부요소 유형
이 논문은 북한 지명의 후부요소 유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지명의 후부요소는 무표지로 실현되거나 유표지로 실현된다. 무표지는 영형태, ‘[Ø]’로 표시하였다. 유표지로 실현되는 후부요소는 [자연적] 대상을 가리키는 것과 [인공적] 대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구분된다. [자연적] 대상에는 ‘[산], [땅], [물], [자연사물]’이, [인공적] 대상에는 ‘[마을], [거리]’가 해당한다. [산]에는 ‘고개, 골짜기, 둔덕, 등성이, 령, 벼랑, 봉우리, 산, 재, 코숭이’가 각각 포함된다. [땅]에는 ‘굽이, 고치, 더기, 들, 뙈기, 목, 벌, 섬, 터’가 해당된다. [물]에는 ‘강...
[학술논문] 외국 언론매체의 동해인식과 동해명칭 표기 현황 : 캐나다, 호주, 인도, 싱가포르 주요 방송사와 신문사를 사례로
...과정을 분석하였다. 기사에서 동해 표기는 각 국가별, 언론사별로 편차를 보이고 있다. 캐나다는 정치와 군사, 외교뿐만 아니라 문화와 환경 분야의 기사에 걸쳐 전반적으로 일본해 단독 표기 비중이 높았다. 반면 호주와 인도는 상대적으로 동해 병기 비율이 높고싱가포르는 전체적으로 동해 병기가 일본해 단독 표기를 능가하고 있다. 동해 표기가 많이 나타나는 기사 유형은 북한, 북핵, 군사 훈련, 북한 미사일 발사 등 군사, 정치, 외교 등의 분야이다. 이들 네 국가들의 언론사의 동해 표기 경향은 AP, AFP, Reuters 통신사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 면담 결과, ‘본사 지침을 따르는 경향’, ‘본사 지침보다는 기자의 재량을 존중하는 경향’, ‘전적으로...
[학술논문] 지명어 후부요소 ‘덕(德)’의 지리적 분포와 특성 - 북한 지역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북한 지명 가운데 형태소(후부지명요소)가 ‘덕’인 지명에 관한 연구로 북한의 ‘덕’ 지명을 전수 조사하여 지명 유래, 토지 이용, 덕 지형 형성과 분포에 따른 분류를 하였다. 『조선향토대백과사전』에서 소개하고 있는 북한 지역의 ‘덕’ 지명은 모두 7천여 개 가량이며, 함경남북도와 양강도, 자강도를 중심으로 집중적인 분포를 보인다. 반면에 황해도, 평안도, 강원도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덕’ 지명은 남한의 강원도 지역에서도 일부 보이기는 하나 형태나 성인상으로는 북한의 덕과 다르다. 연구 결과 북한의 덕 지형과 지명은 그 유래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고려와 조선시대 이래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