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북 지방도시에서 병문안 선물 ‘위생지’ 인기
앵커: 북한의 일부 지방공업공장에서 생산되는 위생지(화장지)가 질병의 완쾌를 기원하는 상징으로 인식되면서 주민들의 병문안 선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손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뉴스] 북 여교사들, 겨울방학 기간 물길어 품삯 벌어
북한 지방도시에서 일부 초·중·고 여교사들이 개인 살림집 아파트를 돌면서 물을 길어주고 품삯을 받아 식량을 구입하고 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손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뉴스] “북 청진서 당국 통제에 주민들 집단 반발”
새해 들어 북한 당국이 주민통제를 강화하면서 지방 도시에서 주민들의 집단 반발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학술논문] 사회주의 도시 '개성'의 연속과 변화 연구
North Korea constructed cities according to Socialist ideology and the ‘Juche’ philosophy. Rather than large cities, North Korea built middle or small-sized cities in order to discourage frequent moving of peopl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overcrowded cities. Facilities that would enhance a city’s self-sustainable nature were also established. Large squares, as well as education
[학술논문] 북한 시장경제체제 전환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
...전환모델은 구소련과 중국, 베트남을 주요 관심국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은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한 대표적인 국가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시장경제체제 전환에 대한 가능성은 유엔의 대북제재와 국제적 고립의 심화로 북・중 변경지역과 북・러지역의 시장경제에서 자본주의 초기 현상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평양시는 보다 높은 발전과정의 단계로 파악되며, 지방도시는 장마당의 활성화로 국가주도의 계획경제가 갈수록 약화되고 시장경제 초기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시장경제체제 전환에 대한 한계는 정치엘리트들의 시장경제채택에 대한 확실성과 자신감의 결여, 경험부족, 국제교류의 부족, 핵-경제병진정책 등으로 당분간 상당한 기간이 필요할 것이다. 북한이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북한지도부의 제도 개선에 대한...
[학위논문] 남북한 통일 과정에서 필요한 디자인정책 연구
...결론 내려졌다.
2단계 남북연합 과정에서는 연합정부 구성에서 발생되는 부문별 행정수요와 이에 따른 정책들을 고찰하였다. 남북연합 준비시기에 연합정부 및 개편되는 지방정부들을 위한 새로운 디자인 상징정책(symbolic policy)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남북연합 초기-중기에는 남북 균형발전을 위한 공공디자인 분배정책이 예상되었는데, 지방 도시의 공공시설물, 도로교통개발에 앞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세워 남북전체를 관리할 지침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교육 및 문화측면에서는 공용교과서 디자인, 국내외 디자인전시, 출판물, 공동 학술활동 등이 발생하며, 남북연합과 단일국가의 전환시기에는 남북 통합을 위한 디자인 구성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3단계 남북연합 과정에서는, 단일국가...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대한적십자사의 조직정비와 인도주의 활동
...적극적으로 해야만 하는 상황으로 인도하였다. 이 시기 대한적십자사는 조직을 재정비하는 동시에 회원모집운동을 전개, 회비모금, 정부의 적극적인 재원마련협조를 바탕으로 인도주의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대한적십자사의 구체적인 인도주의활동을 살펴보았다. 대한적십자사는 군인 및 국민들에 대한 보건의료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적십자병원의 보강, 지방 도시에 적십자병원을 설치, 지사진료소의 확충, 공보선전사업의 강화, 적십자병원 간부의 미국유학 장려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전재민에 대한 구호활동 및 재해 구호활동도 전개되었다. 북한의 갑작스런 침략에 대해 전 세계 적십자는 대한민국에 구호품을 보내왔다. 대한적십자사는 이를 적시에 이재민들에게 분배되도록 노력하였다. 부녀봉사대원의 활동도 빼놓을 수...
[학술논문] 전후복구기 원산의 계획안과 재건, 1953-1963
...변해간 모습과 그 변화의 이유를 추적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원산의 초기 계획안은 소비에트 도시계획의 영향을 받아 이상적이고, 야심적인 규모로 시작되었으나, 본격적인 재건이 시작된 1958년부터는 그 규모와 형태가 변했음을 주장한다. 재건이 진행되면서 원산의 규모는 일제강점기 도시의 범위로 줄어들었으며, 형태적으로는 도시가 가진 지리적 상황과 해안 관광도시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그 결과 만들어진 비대칭적이며 동적인 구성은 원산의 도시계획에서 중요한 구성원리로 남았다. 인적, 물적 자원이 집중된 평양의 화려한 재건과는 달리, 원산의 재건은 이상과 제한된 자원을 조율한 결과물이다. 이 연구는 원산의 재건을 통해 모범적인 평양의 모습에 가려진 북한 지방 도시 재건의 어려움과 현실적 타협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