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한국을 대비한 남북한지방자치법제의 비교와 통합적 개편방안
미래의 통일한국에 있어서 통일된 국가정치체제와 조화로운 지방자치법제의 통합적 개편이 갖는 의미는 지역주민의 자치의식과 능력을 배양하여 궁극적으로 주민의 권익 보장과 함께 다원적 복합사회의 다양한 행정수요를 충족시켜 효율적인 행정목적 달성에 기여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통합지방자치법제는 본질적으로 주민의 존엄과 가치, 행복을 구현하기 위하여 자율적인 지방정치와 행정에 대한 보장을 담는 것이므로 통일한국에서 지방자치가 풀뿌리민주주의 실현의 기틀로서 자유민주주의체제를 더욱 견고히 할 버팀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남북한의 통일과정 차원에서 지금까지의 학술자료․현황을 토대로 현행 지방자치법제의 완성도, 지방자치단체의 민주적 성숙도, 자립적․자주적 주민의 자치의식과 주민참여도 등을 비교․검토할 때 남한의 지방자치단체는...
[학술논문] 통일 한국에 대비한 지방자치법제의 과제- 지방행정체제 개편 및 통합을 중심으로 -
통일은 언젠가 반드시 다가올 미래이다. 통일의 주체 및 형태가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에서 국가형태, 정부조직 및 행정체제에 관한 논의가 가장 먼저 진행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통일 한국이 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국가형태, 정부조직 및 행정체제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미리 연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국가형태, 정부조직 및 행정체제는 국가균형발전 및 지방자치제도를 도외시하고 개편할 수는 없다. 통일이 되면 현재 우리가 일자리를 찾아 서울 등 수도권으로 이주하는 것처럼 북한의 젊은이들도 일자리를 찾기 위해 서울 등으로 이주하려고 할 것이다. 따라서 통일 이후의 국가형태 및 행정체제는 국가균형발전과 지방자치의 관점에서 어떻게 개편할지 세밀한 고민이 필요하다. 통일 후 남북한의 행정체제는 지역균형발전과 지방자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