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정부회계에 대한 사례연구 : 북한대학의 회계학 교재를 중심으로
...중앙회계, 지방회계, 부문회계 및 금융회계로 구분되는데 특히 중앙회계, 지방회계 및 부문회계는 중앙예산과 지방예산을 대상으로 하며, 경영회계와 종합회계를 연결하는 자금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결국, 중앙회계, 지방회계 및 부문회계는 국가예산 및 자금을 통제하는 회계로서 남한 정부회계의 범위라고 할 수 있다. 북한 중앙회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회계계산은 국가적인 범위에서 자금의 흐름을 대상으로 국가예산수지와 외화수지를 포괄적으로 계산한다. 둘째, 예산수입은 국가예산수납체계에 따라 월 단위로 계산하는 반면, 예산지출은 예산공급체계에 따라 일 단위로 계산한다. 셋째, 중앙재정기관의 재정관리부서별로 다른 내부계산체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재정관리조직의 특성에 따른 계산이 다를 수 있다. 북한의 지방회계 특징은...
[학술논문] 북한 재무회계의 개관:북한대학 회계학 교재를 중심으로
[연구목적]북한의 재무회계체계와 회계절차를 확인한 후 남한회계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통일부 북한자료센타에서 소장하고 있는 북한대학 회계학 교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첫째, 북한은 중앙집권적 계획경제체계이므로 회계체계는 정부회계의 하위체계이다. 남한회계와 비교하면 경영회계계산은 기업회계와 지방회계, 부문회계, 중앙회계, 국가예산자금분석은 정부회계, 원가분석은 원가관리회계, 회계검증은 회계감사와 유사하다. 또한, 세금이 없는 대신 국가납부금을 계산하는 것은 남한의 세무회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주의 회계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북한회계의 정보이용자는 정부 기관으로 한정되어 있다. 회계대상은 기업소경영자금, 국가예산자금이다. 또한, 북한회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