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외교사에서의 동유럽: 지역인식과 담당외교조직의 변화를 중심으로
...박정희대통령의 ‘평화통일외교정책선언’이 발표되면서, 동유럽과의 관계 개선의 필요성이 본격적으로 제기되었고, 1971년부터 동유럽과의 통상문제가 직접적으로 논의되었다. 특히, 대동유럽 수출량 증가를 통한 경제교류의 확대는1978년 외무부의 동구담당관 신설을 통한 동구개념의 확산으로 이어졌다. 몰타 미소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냉전체제가 해체되며, 동유럽지역과의 외교관계수립과 교역규모의 확대라는 정치·통상환경의 변화, 그리고 이에 기초한 지역인식의 심화는 1991년의 동구1-2과로 동유럽담당 외교조직의 분화를 이끌었다. 그러나 탈냉전기 지역인식의 변화는 1994년 동구과에서중구과로의 변화를 추동했다. 한국외교사에 있어서 외교조직의 변화는 동유럽에 대한 지역인식의 변천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었다.
[학술논문] 평양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태도: 『민족문화유산』에 나타난 평양 소재 문화재 기사를 중심으로
...역사인식을 분석하여 북한의 평양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는 세 가지 갈래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상원검은모루유적을 통해 대동강유역을 인류문명발상지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단군릉발굴을 통해 한반도 최초국가의 시조왕의 실재를 밝히고 이 일대를 크게 개건함으로써 평양이 북한의 중심일 뿐 아니라 인류의 발원이 이뤄진 성스러운 지역으로 인식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을 연결하여 세계최초 고대국가가 발원한 세계5대 문명발상지 중 하나로 ‘대동강문화’를 주장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셋째, 고구려 고주몽의 무덤이 평양으로 옮겨왔고 그것이 현재 동명왕릉이라 주장하며 평양을 대대로 한민족의 역사적 계승지로서 정체성을 갖게 하였다. 도시 문화재에 대한 고찰은 도시연구의 내용을...
[학술논문] 한국 북방물류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신북방물류의 중심이 되는 동북아시아의 중국⋅러시아⋅북한의 접경지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을 포함하는 동북아 북방지역은 경제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요인으로 각국이 선점을 위한 각축장이 되면서, 글로벌 관점에서 중요지역으로 인식되고 있 다. 특히 더욱 심해지고 있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북극해 항로의 이용가능성이 증가되어 극동러시아 항만의 중요성과 극동시 베리아 자원의 개발가능성으로 동북아 북방지역에 대한 개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물류망은 블라디보스토크를 중심으로 유럽으로 연결되는 TSR이라고 할 수 있다. 북극해 항로의 이용가능성으로 다양한 복합물류네트워크가 구축될 가능성이 많아지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문재인대통령은 2017년 9월의 러시아 3차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하여...
[학술논문] 한반도-북방 관계성 이해를 위한 공간인식 정립의 소고
본 연구는 광범위한 지역을 아우르는 북방 지역의 공간적 스케일을 고려하여 우리가 가져야 할 지역 인식 구조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현재 한국 정부는 신북방정책 대상국가로 14개 나라(러시아, 몰도바, 몽골,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조지아, 중국(동북3성),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를 지정하였지만 북방의 명확한 공간적 범위에 대해서는 확실한 사회적 합의가 제시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북한과의 장기간 대치에 따라 유라시아 대륙과의 단절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인들은 북방에 대한 정서적, 인식적인 거리감이 갈수록 멀어지고 있다. 북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증진시키고 북방 정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북방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해가...
[학위논문] 통일 시기 남북 접경지역의 북한 주민 수용과 남북한 사회통합 방안 연구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 다. 접경지역은 분단 이후 설정된 남북 군사분계선을 기점으로 남한의 15 개 지자체를 포괄하는 광활하게 설정된 지역이다. 접경지역은 분단과 체 제 대립의 역사를 간직하면서 남북한 군사적 대치 상황에서 안보적으로 긴장상태에 놓여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경제적으로 소외되고 군사보호 및 개발제한으로 발전에 한계를 보이는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문 화, 역사, 그리고 생태적 가치가 높고, 통일을 상정할 경우 남북한의 유 무형의 장점이 수렴되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지역이다. 통일 시기에는 분단으로 인한 한계나 제약사항이 모두 소멸되므로 발전 지향적인 지역이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통일 시기 다양한 국내외적 영향요인을 진단하는 한편 6.25전쟁 사례를 중심으로 대량 탈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