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거이론방법의 고찰과 언론학 연구에 주는 함의: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의 탈북자 기획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의존하는 편향성을 보였다. 이 연구는 이 같은 현상을 극복하자는 취지에서 구성주의 근거이론방법으로 보수신문인〈조선일보〉와〈중앙일보〉, 진보신문인〈한겨레〉와〈경향신문〉이 2005년부터 2013년 말까지 보도한 탈북자 기획기사의 개별 문장을 읽으면서 근거표현들을 추출한 뒤 지속적 비교방법으로 흥미로운 범주들을 발견했다.〈조선일보〉와〈중앙일보〉는 기획기사에서 한국에 잘 정착한 경우인 “남한정착”을 주목하고 남한과 북한의 연결고리인 “가교”도 다루었으나〈한겨레〉와〈경향신문〉은 이들 범주 대신에 “가정해체”와 “무국적자”를 다루었다. 따라서 보수신문은 탈북자의 긍정적 측면을 보도한 반면에 진보신문은 부정적 측면을 다룬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논문] 통일 관련 언론보도 논조 및 프레임 분석 연구: 김대중 및 박근혜 정부의 보수와 진보신문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프레임(Frame) 이론을 통해 김대중ㆍ박근혜 정부 시기 통일 관련 언론보도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를 진행하기위해 <조선일보>, <동아일보> 보수언론과<한겨레>, <경향신문> 진보언론 1면 및 사설면 275개 기사를 활용했다. 분석시점은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에서 도출된6⋅15공동선언과 2014년 1월 박근혜 대통령이 ‘통일 대박’을 언급한 신년기자회견을 기준으로 한 달 전, 세 달 후로 제한했다. 분석결과, 김대중 정부 시기 통일이슈에 대해 보수언론의 논조는 부정적, 진보언론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박근혜 정부 시기에는 보수언론이 긍정적 및 중립적, 진보언론이 부정적 및 중립적으로 나타났다. 북한에 대한 논조는 보수언론이
[학술논문] 언론을 통해 본 한국의 O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신문기사 분석, 1993~2016
...EDCF 차관, 아세안 경제협력, 새마을 운동 등 한국의 발전경험과 국익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개발원조에 대한 보도 비중도 높았다. OECD DAC, UN 등과 관련되는 글로벌 규범에 대한 관심은 특정 시기를 제외하곤 매우 낮았다. 또한 원조추진체계, 원조예산, 인력양성 등 국내 거버넌스와 관련된 주제가 점차 중요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ODA 보도에 가장 적극적인 언론은 경제신문이었으며, 진보 신문은 보수와 경제신문에 비해 보도 량도 적을 뿐 더러 특히, 글로벌 규범에 대한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진보 신문의 북한 문제에 대한 보도 비중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본연구는 바람직한 ODA 정책추진과 국민인식 제고를 위해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있다.
[학술논문] ‘북미정상회담’에 관한 한일 신문 사설 비교 연구 ‒조선일보, 한겨레, 요미우리신문, 아사히신문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한일 주요 신문의 사설을 통해 양국의 언론이 동일 사안인 북미정상회담을 어떻게 보도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한일 양국의 보수와 진보 신문을 대표하는 <조선일보> <한겨레> <요미우리신문> <아사히신문>으로 삼았으며, 분석 방법은 빅데이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KH Coder’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별 보도량에서는 한국 신문들이 일본 신문들보다, 이념 성향별 보도량에서는 보수신문들이 진보 신문들보다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하여 더 많은 사설을 게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회담 시기별 보도량에서는 1차 회담이 2차 회담보다 사설의 보도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한일 양국 신문의 보도 양상은...
[학술논문] 북한 관련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언론 보도 연구
...북한 관련 언론보도는 한․미․중․일 등 주변국과의 외교나 협력, 주변국들의 대응에 관한 언급이 많았으며, 모든 언론사의 주요 의제로 설정되었다. 둘째, 문재인 정부 시기 보수신문은 미사일과 대북 제제, 진보신문은 한반도의 평화 등에 대한 언급이 많았다. 셋째, 윤석열 정부 출범 초기 보수신문은 미사일 발사 도발에 대한 강력한 대응, 진보신문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언급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보수신문은 일관되게 대북제제와 도발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진보신문은 한반도의평화를 위한 온건한 대응을 주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점에 따라 각기 다른 입장으로 북한에 대한 인식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