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주법학의 새로운 실험
...법적인 과제들에 대한 고민을 촘촘히 논문으로 녹였다. 이른바 부랑인과 불순분자들은 1975년 내무부훈령 제410호에 따라 강제로 수용되었으며 이러한 수용정책은 1987년까지 지속되었다. 시설에 대한 국가감독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설은 강제노동수용소로 변질되었고, 심각한 인권침해도 빈발하였다. 1987년에 김용원 검사가 전격적으로 복지원 책임자를 기소하였지만 진상규명이나 책임추궁은 제대로 이루어지 못했다. 김재완은 진실규명과 피해배상이라는 과거청산의 원칙을 원용하며 형제복지원 문제의 해결을 촉구한다. 한반도의 법철학자 정태욱은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절실히 호소한다. 그는 북한인권 문제를 둘러싸고 최근 전개되는 국내외적 정치상황을 가감없이 전달한다. 북한은 전통적으로 외국이 북한 인권 상황에 시비하는 것을 극도로...
[학술논문] 남북관계와 양면게임의 논리: 금강산 관광사업 재개 문제를 중심으로
...있다. 이 사업은 남북 간의 화해와 교류협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협력사업인 동시에 첨예한 남북 간의 갈등과 이해관계를 여실히 드러내는 표본이기도 하다. 이 사업은 2008년 7월 북한군 총격으로 관광객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중단되었다. 이 사업의 잠정 중단된 이후 남측이 북측에 요구하는 ‘3대 선결요건’ 즉, ‘진상규명’, ‘재발방지책 마련’, ‘관광객 신변안전보장의 제도적 장치 마련’ 등을 사업 재개의 핵심쟁점이었다면, 중단이 장기화되면서 각종 남북관계 현안이 연계되어 문제의 실마리 찾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금강산관광 사업의 중단과 재개를 둘러싸고 남한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찬반양론은 왜 금강산관광사업의...
[학술논문] 독일 통일 이후 과도기 정의 실현의 정치적 제약사항 검토: 한반도 통일 이후에 대한 시사점
...있어 중요한 제약요인들을 검토하고 정책적 준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독일은 통일이후 여러 가지 사회적 논란과 논쟁을 거치면서도 구동독정권의 불법적 행위에 대한 청산작업을 지속하였고, 사법처벌 뿐만 아니라 의회의 조사위원회 활동을 통해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시행하였다. 본 논문은 독일이 통일 이후 과도기 정의실현을 위한 작업을 어떻게 진행하였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지 분석한다. 본 논문은 과도기 정의 실현에 있어 사법적 처리에 있어서의 증거수집의 문제점 북한 책임자의 고령과 질병, 외국의 개입, 법체계상의 한계 등의 제약요인이 예상되며, 별도의 진상규명위원회의 조사활동의 기능도 필요하다는 점을 통일독일의 경험에 비추어 중요한 요소로서 제시한다.
[학술논문] 5・18민주화운동 관련법의 성과와 한계: 5・18진상규명법 제정의 필요성과 방안
... 북한군 개입설 등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5・18왜곡・폄훼 사례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5・18진상규명특별법을 제정하여 밝혀지지 않은 진상규명과 국가차원의 진상보고서 작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특히 실질적이고 실효적인 진상규명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진상규명위원회에 강력하고 막강한 조사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학술논문] 5․18항쟁 기록물의 생성과 유통
1980년 5월 27일 5․18항쟁이 진압된 직후부터 진상규명 투쟁이 전개됐다. 그 결과 ‘5․18광주민주화운동’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다. 5․18항쟁이 제자리를 찾게 됨으로써 희생자들은 망월동 국립묘지로 이장되고, 해마다 5월이 되면 광주의 금남로에서는 주먹밥을 나눠주는 행사를 열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폭동’이나 ‘내란’으로 왜곡하려는 세력들이 있다. 이들은 공공연하게 5․18항쟁을 폄하하며 ‘북한의 사주’를 받거나 ‘북한의 특수부대원들이 침투해 일으킨’ ‘폭동’으로 5․18항쟁을 폄훼한다. 그 시작은 시민들의 의로운 저항을 진압했던 신군부의 왜곡으로부터 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