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상자료 분석을 통한 북한 주체적 발성의 실현양상
Music in North Korea has its significance greater than mere a genre of art. Since the nation’s division, North Korea took advantage of music to be a political means intended to effectively emphasize and disseminate the Chuche idea, and developed the music in the name of so-called “Chuche music.” In particular, Kim Chong-il’s ruling era is called as the time of “music politics”
[학술논문] 남·북·연변의 경·서도 민요 비교 연구
본 연구는 남한의 경·서도 민요와 이를 기반으로 재형상화 한 북한의 민요, 그리고 90년대 이후, 남한의 민요를 수용하여 정착시킨 연변민요 등 세 지역의 민요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는바, 남한·북한·연변민요의 창법, 음악형식, 장단 및 선율을 중심으로, 세 지역에서 불리어 지고 있는 경·서도 민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에 주력하였는데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창법에서 세 지역의 발음은 동일하나 남한은 육성, 북한은 속성(가성), 연변은 혼성으로 부른다는 점, 형식 면에서는 동일한 유절형식이며, 장단은 굿거리와 세마치가 공동히 사용되고 있으나 템포에 있어서는 남한보다 연변이 빠르고, 북한은 연변보다도 더 빠르게 부른다는 점, 선율 면에서는...
[학술논문] 남․북한 상호이해를 위한학교 국악 교육내용 비교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예술의 고유한 특성을 체득하도록 하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다. 둘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남․북한이 영역을 중심으로 학교(급)별로 기능에 따라 내용을 정하고 심화 학습하도록 제시한 점은 비슷하나, 국악의 내용 요소가 서양악과 비교하여 남한의 내용은 구체적이라면 북한은 그렇지 않다. 셋째, 교과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남․북한의 국악 교육을 분석한 결과, 북한은 전통적인 국악의 어법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장단을 변형하고, 민요풍의 노래를 만들어 변형된 창법으로 노래하게 하는 등 남한의 국악 교육 및 그 내용과 간극이 있다. 본 연구가 통일을 대비하여 북한의 국악 교육과 그 내용을 이해하고, 국악 교육적 측면에서 남․북이 다르게 가르치고 있는 내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학위논문] 남ㆍ북한과 연변지역의 경서도 민요 비교 연구
본 논문은 남한의 경서도 민요와 이들 민요를 기본으로 하여 재형상화 한 북한의 민요, 그리고 90년대 이후, 남한의 민요를 받아들여 정착시킨 연변민요 등 세 지역의 민요를 비교한 것이다. 연구의 주된 목적은 사설, 창법, 음악형식, 장단, 그리고 선율의 비교를 통하여 3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세 지역 민요와 관련된 문헌조사의 방법, 그리고 유명창자들의 음반이나 녹음자료를 악보화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 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하여 도출된 결론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Ⅱ장 사설의 비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 민요는 각 지역 공히 13곡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