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교육에서 통일시나리오의 교육적 함의
이 연구는 실현가능한 통일시나리오에 대한 검토를 통해 통일교육 내용과 방법에서의 긍정적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일시나리오를 크게 합의형(점진적 진화에 의한 합의형, 급진적 합의형), 흡수형(북한붕괴에 따른 급진적 흡수형, 합의에 기초한 상황적 흡수형), 무력형(남침 및 재통일형), 신탁형(미국개입형, 국제사회 개입형, 중국개입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통일시나리오가 통일교육에 수용될 경우 다양한 통일준비와 역동성 있는 통일교육, 민족공조 편향성의 극복, 통일에 대한 상상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가정의 심리적 양육환경과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가족분위기에 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 양류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의 양육행동 가운데 온정성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통제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의 양육신념 가운데 문제해결능력 촉진, 창의적 능력 촉진, 일상적 기술 촉진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의 심리적 안정감 중 환경에 대한 지배력,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와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자율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은 가족분위기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위영역에서는 부분적으로...
[학술논문] (한)국어교육의 미래와 국제화의 과제
국어교육은 국민의 정체성, 문식성, 인문성, 도덕성의 함양으로 국가발전에 기여하였다. 최근에는 국어과 핵심 역량으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 ‘기초학습능력’,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 ‘정보처리능력’, ‘문화예술향유능력’이 거론된다. 이를 위해 국어과는 기능 중심의 도구교과관을 넘어 사고, 지식, 인성, 예술, 인문교과라는 균형적 ‘신교과관’을 정립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신문식성 교육’을 강화해 학교속의 문맹 현상을 예방하고 한자 문식성을 높이며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문식성을 높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