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분쟁에 대한 중국의 위기관리행태 고찰
본 논문의 목적은 천안함 침몰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사례분석을 통해나타난 한반도 분쟁에 대한 중국의 위기관리행태를 고찰해 보는 데 있다. 이를위해 본 논문은 중국이 한반도 안보구조의 행위자인 남북한 및 미국과 각각 어떠한 상호작용을 통해 한반도 분쟁에 대응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중국은 한반도안정 유지 및 한반도 영향력 유지라는 한반도에 대한 국가이익을 갖고 있다. 한반도에 대한 국가이익을 지키기 위해 중국은 2010년에 발생한 천안함 침몰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의 전개과정에서 남북한 및 미국과 외교적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군사적 수단도 활용하는 위기관리행태를 보여주었다. 특히 두 사건의전개과정에서 6자회담은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이루고, 한반도의 영향력을유지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중국의 위기관리 수단으로...
[학술논문] 북한의 비대칭전략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증대된 것으로 평가한다. 2010년 3월 26일 한국군은 천안함 폭침 강현욱, 『북 비대칭 전력 대응방안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2012, p. 4(한국은 침몰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함께 합동 조사단을 편성하고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조사를 벌였고, 그 결과를 5월 20일에 발표하였다. 천안함은 북한의 연어급 잠수정의 어뢰(CHD-02D)의 공격을 받아 충격파, 버블효과에 의해 파괴, 침몰되었다는 것이다.) 으로 북한의 비대칭 전략의 위험성을 매우 비싼 대가를 치르고 깨닫게 되었다. 지난 3차례의 해전을 통해 대칭전력으로는 한국해군을 제압ㆍ격멸하여 유생역량을 소멸할 수 없음을 인식한 북한군 지휘부는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천안함을 기습 공격하였고, 이 공격은 한국사회의 전반적인 정치ㆍ외교ㆍ군사ㆍ심리에...
[학위논문] 보수언론의 천안함 침몰 사건의 보도에 관한 사례연구 : 원인 프레임의 심층 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2010년 3월 26일 발생한 천안함 침몰 사건에 관한 보수언론의 보도에 관한 사례연구로써 원인 프레임의 심층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사건 발생 이후 2015년 4월 30일까지 천안함 침몰 사건에 관해 보도한, 검색엔진 아이서퍼에 나타난 보수언론의 전 기사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연구자는 분석을 위해 사례연구, 프레임이론, 보도 기사의 내용분석, 심층인터뷰를 연구방법론으로 활용했다. 그리고 천안함 침몰 사건의 보도에 드러난 보수언론의 취재보도의 문제를 적시하기 위해 『저널리즘의 기본원칙』을 원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보수언론은 냉전시대의 관행으로 작동해온 대북 보도 프레임의 설정원리인 ‘적대적 공생관계론’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