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동기~철기시대 중국 동북 지역 물질문화의 전개와 상호 작용 및 족속
...魏營子類型은 청동예기의 族徽 등에 언급되어 있는 일부 족속 및 그의 선계와 연관이 있고, 燕山山地의 東南溝-玉皇廟文化는 山戎族, 內蒙古 東南部의 夏家店上層文化는 東胡族의 선계 諸族, 水泉類型은 東胡族, 遼寧省·吉林省 中部·延邊朝鮮族自治州·沿海州 南部·韓半島는 濊貊系 제 족속, 十二臺營子文化期 遼寧의 일부와 초기철기시대의 西北韓은 古朝鮮에 해당된다. 또한 內蒙古 東北部의 哈烏拉文化는 몽골 동부와 외바이칼호 일대의 족속, 扎賚諾爾類型은 익히 알려져 있는 것처럼 拓拔鮮卑族의 선계와, 黑龍江省과 吉林省 西部의 白金寶文化부터 紅馬山文化까지는 고대 중국에서 鮮卑·烏桓은 물론 東夷 제족과도 구분되는 北夷로 인식한 별개의 족속과 연관이 있다. 또한 黑龍江 하류역 러시아...
[학술논문] 청동기~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 물질문화의 전개와 고조선
청동기~철기시대 전기 요령~서북한 지역의 물질문화는 기원전 3세기 전국연문화가 요서와 요동 등지의 일부 지역에까지 확산됨에 따라 커다란 변동을 겪게 된다. 이 가운데 대동강~재령강 유역의 정백동유형 전기는 이 지역 토착의 신흥동유형이 아닌 십이대영자문화 정가와자유형을 직접적인 계보로 하여 형성되었을 뿐 아니라 후기의 물질문화 양상이 위만조선과 낙랑군에 대응된다는 점에서 진개 침공 이후 이 일대로 밀려난 준왕의 고조선과 준왕으로부터 정권을 빼앗은 위만조선에 의해 남겨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십이대영자문화 정가와자유형을 준왕 이전의 고조선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위략』의 조선후 기사와 부합하는 것은 심양의 정가와자유형이 아닌 객좌의 남동구유형이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게 된 까닭은 십이대영자문화권이 기원전...
[학술논문] 한중러 접경지역 철기시대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범위에 대한 검토
중국 단결 문화와 러시아 크로우노프카 문화가 서로 같다고 여겨지게 되면서 그 분포범위가 상당히 넓어졌는데,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고고정황에 따른 분포범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이 문화가 옥저로 비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문화분포범위 파악은 필요한 논제이다. 토기로 파악할 수 있는 곳은 북부와 서부경계로 목단강 주변과 한카호 주변으로 단결-크로우노프카문화의 지역적 유형으로 판단된 동강 문화가 존재하는 곳이다. 하지만 유물을 실견하면서 전혀 다른 특징들이 확인되고, 이 문화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서북 및 북부경계는 이 문화와 동강 문화를 비교 고찰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는 북한의 유적을 포함한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편년연구가 전제되어야 한다. 단결-크로우노프카
[학술논문] 북한 청동기시대 고고학 연구 경향의변화와 쟁점
...걸어오게 된다. 특히 1970년대 이후 급격히 정치성을 띠기 시작한 북한 고고학과 대규모 유적 발굴로 학문적 성장이 가속화된 남한 고고학은 큰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며;이러한 양상은 1990년대 대동강문화의 천명 이후 더 이상 공유되는 부분이 없을 정도의 괴리가 생겨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괴리는 ‘고조선’을 전후한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에 더욱 두드러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한의 선사 고고학은 지속적으로 북한 고고학에 시선을 둘 수밖에 없다. 아직도 중요한 연구 주제 중인 ‘문화의 기원과 계통’을 찾는데 있어 북한의 자료가 주된 연구 대상이지만 그 신뢰성에 의문을 표하는 ‘이중적인시선’이 남한의 고고학이 북한 고고학을 바라보는 시선인 것이다...
[학술논문] 1950~70년대 북한고고학계의 청동기·철기시대 설정과 고조선 인식
...받아들이기어렵지만, 그 이전의 연구 성과는 당시로서 나름의 고고학적 근거를 가지고 개진된 연구들이었다. 특히 북한학계는 1970년대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조선의 역사상을 보다 구체화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곧 고조선 요동중심설을 고고학적으로 확립하는 것이었다. 그 배경에는 해방 후 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금석병용기의 극복과 청동기시대, 철기시대의 설정이라는 고고학적 연구성과가 뒷받침되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래서 50~60년대는 북한 역사학·고고학 분야 연구의 황금시대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따라서 당시 북한고고학계에서 고조선 요동중심설을 주장하는 논리적 근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고고학적 연구성과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글에서는 고고학적인 관점에서 청동기시대부터 고조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