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북 시기 리태준의 문필 활동 실증
...원본을 밝힌 것이 4편이다. 거기다 번인본 출판에 대한 꼼꼼한 이해를 더한 게 1편이다. 이러한 보완 결과를 디딤돌로 삼아 앞으로 이루어질 재북 시기 리태준 문학에 대한 연구는 보다 엄밀하게 다가설 수 있을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 발굴해 새로 소개한 22편의 문필 활동은 북한의 핵심 일간 신문인 『로동신문』과 『민주조선』에 실린 것이 중심이다. 평론 ․ 정론(토론문 포함) ․ 수필(기행문 포함) ․ 보도문에 걸치는 이들 네 유형 가운데서 정론이 16편으로 72%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다. 예술 문학 쪽 글은 2편에 지나지 않는다. 내용에서도 문학예술 활동 바깥쪽, 초기 북한의 통일 책략과 대남 평화 공세에 따르는 정치적, 사회적 의제가 대부분이다. 작가로서보다 적극적인 현실 정치 선동가로서 면모가 두드러지는...
[학술논문] 북한 철도 모빌리티와 규율 안팎의 역동 -탈북 소설에 나타난 강원선·평의선 표상 간 비교를 중심으로-
이 글의 목표는 『북한 작가들의 철도 이야기 소설집-원산에서 철원까지』 (2020), 『북한 작가들의 철도 이야기 소설집 2-신의주에서 개성까지』(2021)에 나타난 철도 모빌리티를 분석함으로써, 북한의 이동·운송 시스템이 동시대 정치·경제적 상황을 둘러싸고 주민들로 하여금 어떠한 이동 실천을 선보이게 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정치적 요충지나 국경 무역 도시에위치한 철도역을 기반으로 전개되는 주민들의 정치·경제적 실천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규율과 상응하는 동시에 통치성을 넘나드는 역동성 또한 선보였던 북한 주민들의 모빌리티 역량을 다각도에서 규명했다. 이러한 주민들의 모빌리티 역량은 북한 통치성의 근간이 되었던 폐쇄형 행위자-연결망에...